정부, 전공의·의대생 개별 설득...'복귀 방해' 수사 의뢰

정부, 전공의·의대생 개별 설득...'복귀 방해' 수사 의뢰

2024.05.27. 오후 7:0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의대 증원 반영한 2025학년도 대입 변경계획 승인
’수련 기한’ 압박에도 전공의 복귀 소수에 그쳐
정부, 병원 통해 전공의 개별 접촉·복귀 설득
정부, 5개 지역 의대 학생회 측에 각각 대화 요청
AD
[앵커]
의대 증원에 반발해 떠난 전공의와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자 정부가 개별 접촉 방식의 설득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일부 의대에서 복귀를 막기 위한 강압 행위가 있었다는 신고를 받고 사법 당국에 수사 의뢰하며 압박에 나섰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4일 의대 증원을 반영한 내년 학년도 대입 변경 계획이 승인됐습니다.

정부는 이제 의대 증원이 확정됐다며 대입 시행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병원과 학교를 떠난 전공의와 의대생이 돌아오지 않으면 증원 사태는 끝나지 않습니다.

지난주 정부가 추가 수련 가능 기한이 다다랐다며 전공의를 압박해봤지만 복귀는 소수에 그쳤습니다.

전공의 측 대화 조건인 '증원 백지화'는 이미 물 건너간 상황.

이들 단체를 움직일 뚜렷한 유인책이 없자, 정부는 한 명씩 개별 접촉해 복귀를 설득하고 있습니다.

[전병왕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 정부가 공문을 보내서 수련병원의 원장이나 진료과장이 전공의 개인 복귀 의사를 개별적으로 묻고 있습니다.]

이런 '각개전투 방식' 설득 작업은 집단행동 중인 의대생을 상대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생들의 유급을 막기 위해 대학본부가 개별적이고 꼼꼼하게 학생들을 접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복귀를 막는 '학생 사이 강압 행위'에 대해서는 사법 대응을 재차 강조하며, 최근 수사 의뢰한 3건의 사례를 공개했습니다.

A 의대에서는 전 과목 미 수강한 사실을 공개 인증하라고 했다는 신고가 있었고, B 대학은 특정 장소에 학생들을 모아두고 휴학원 제출을 강요했다는 사례가, C 의대의 경우 휴학원을 제출하지 않은 명단을 공개해 압박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정부는 또, 대표 의대생 단체(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에 제의한 대화를 거부당한 뒤 5개 지역 의대 학생회 측에 각각 대화를 요청한 거로 드러났습니다.

설득 외에 전공의와 의대생을 복귀시킬 뚜렷한 대책이 없어 보이는 상황에서, 정부가 '개별 공략 카드' 전략으로 분위기 반전을 꾀하고 있습니다.

YTN 이문석입니다.

영상편집:김민경

디자인:백승민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