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한복판에 '고라니라니'..."녹지 연결 늘려야"

도심 한복판에 '고라니라니'..."녹지 연결 늘려야"

2024.06.09. 오전 08:3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얼마 전 서울 도심에서 고라니가 여러 차례 목격됐습니다.

도시개발로 갈 곳을 잃어 사람이 많은 곳에 나타난 건데, 야생동물이 안전하게 다닐 길을 다듬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이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최근 딸을 태우고 왕복 9차선 대로를 운전하던 이성용 씨는 가슴을 쓸어내려야만 했습니다.

하마터면, 대로 한복판을 횡단하던 고라니를 칠 뻔한 겁니다.

[이성용 / 서울 반포동 : 차량이 다 서 있는 상태라서 크게 문제는 없었는데 깜짝 놀랐죠. 저희도.]

[이루다 / 서울 반포동 : 여기는 산이 없어서 (고라니를) 거의 볼 일이 없어요. 다칠까 봐 좀 조마조마했어요.]

같은 날, 고라니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하천 근처에도 나타났습니다.

[최나영 / 서울 도곡동 : 풀 먹다가 다시 나왔다가 그렇게 왔다 갔다 했어요. 그래서 (4시부터) 거의 한 6시까지 봤나.]

산지나 국도에서 주로 발견되던 고라니가 도심에 출몰한 건 최근 일만은 아닙니다.

서울에서 고라니가 나타났다는 신고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문가들은 여름이 다가오고 번식기를 거치면서 활동량과 개체 수가 늘어난 점을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또 급격한 도시화로 포식자와 서식지가 줄어든 영향도 크다고 설명합니다.

[마승애 / 청주대학교 동물보건복지학과장 :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도시를 지나가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거죠.]

서울시는 지난 2006년부터 '녹지연결로'를 마련해왔는데,

아무래도 동물보다는 사람 이동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취재진이 서울 강남구의 연결로들을 직접 살펴보니, 야생동물이 다니기엔 부실한 점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경계심이 많은 야생동물을 위해 통로에는 조명과 소음을 차단할 구조물이나 숨을 수 있는 피난처 등이 갖춰져 있어야 하지만,

이렇게 도로변에 울타리만 쳐져 있는 곳이 많아 동물들이 안심하고 다니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남궁 형 / 한국생태연구소 대표 : 동물은 대부분은 야행성이에요. 그럼 걔들한테 조명을 해줄 필요가 (없죠)]

전문가들은 도심을 넘어 더 큰 규모에서도 야생동물의 이동을 보장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남궁 형 / 한국생태연구소 대표 : 녹지에서 하천 그다음에 그 하천이 다시 녹지로 갈 수 있도록 서울시를 방사형으로 다 연결을 해줘야 해요.]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할 시점입니다.

YTN 김이영입니다.


촬영기자 : 이근혁
디자인 : 박유동


YTN 김이영 (jyc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