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동물원 / 서울모기 / 동해가스전 / 빙수와 천원빵 [앵커리포트]

청주동물원 / 서울모기 / 동해가스전 / 빙수와 천원빵 [앵커리포트]

2024.06.17. 오전 10:3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월요일 아침 출근길 누리꾼들은 어떤 소식에 관심을 가졌을까요?

지금 이 뉴스로 확인해보시죠.

정부와 한국석유공사가 동해 가스전 탐사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시추공 하나 뚫는 데는 천억 원이 소요되는데요.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오는 12월 첫 시추공을 뚫기 위한 착수비 성격의 재원 120억 원을 확보했습니다.

나머지 880억 원은 탐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인 내년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다음 달 중으로 정확한 시추 위치도 확정하기로 했습니다.

동해 가스전 탐사 작업을 본 누리꾼들, 회의적인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바다 밑에 있는 석유가 어딜 가느냐,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만큼 추가적인 검증과 국민 지지도도 높인 뒤 천천히 하라는 반응부터

거액을 들여 시공했는데 안 나오면 그냥 마는 거 아니냐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댓글이 많이 달린 소식, 하나 더 보죠.

호텔 빙수 한 그릇에 11만 원, 지하철 천 원 빵 매장까지 고물가 시대 소비 패턴의 양극화는 더 극명해지고 있습니다.

서울 4대 특급호텔 빙수, 하늘 모르고 값이 또 올랐습니다.

빙수 한 그릇의 평균값이 11만 원을 넘었는데요.

시그니엘 서울의 빙수 한 그릇 가격은 13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3천 원 올라 국내에서 가장 비쌌고요.

포시즌스호텔은 12만6천 원, 신라호텔도 지난해보다 4천 원 올라 10만 원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서울 4대 특급호텔 중 웨스틴조선 딱 한 곳만 10만 원 아래에 있습니다.

호텔 빙수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건, 지하철역 천 원 빵 매장의 모습입니다.

고물가에 팍팍한 서민들의 관심과 발길이 급증했고요.

만 원짜리 한 장으론 버거운 점심 걱정에, 매일 집밥 도시락을 싼다는 SNS 인증도 봇물입니다.

11만 원짜리 빙수와 천 원 빵을 본 누리꾼들의 생각은 다양했습니다.

돈 있는 사람이 백 만 원짜리 빙수를 먹든 천 만 원짜리를 먹든 내버려 둬라, 자본주의에서 당연하다는 반응도 있었지만,

허영심과 SNS의 콜라보다, 가랑이 찢어지는 줄 모르고 허세 떨려 쫓아가는 뱁새가 문제라며 SNS의 폐해를 꼬집는 댓글도 있었습니다.

많이 본 뉴스도 볼까요?

요즘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모기 개체 수도 크게 늘어났습니다.

서울시가 매일 발표하는 '모기 예보제'를 보면, 지난 2일부터 오늘까지 모기 활동지수는 가장 높은 100을 기록했고요.

모기 발생 단계는 4단계로 '불쾌'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4단계가 어느 정도냐 하면요.

단독 주택 밀집지역에서는 집안에 들어오는 모기가 하루 5마리에서 10마리에 이르고,

야간에 운동한 뒤 한 곳에서 정지상태로 10여 분 정도 머무르면, 5마리 이상의 모기로부터 뜯길 수 있는 수준입니다.

이렇게 모기가 활발해진 이유는, 무더위와 이른 비의 영향입니다.

[이동규 / 고신대 보건환경학과 교수 : 기온이 올라가면 (모기) 체온도 따라서 올라가서 대사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그렇게 되면 성장 속도가 빨라져서 성충들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되죠. 비가 자주 오게 되면 모기 산란 장소가 늘어나서 그만큼 모기 개체 수가 늘어나게 되죠.]

모기 발생 단계가 불쾌인 4단계에 이르면

오후 7시 이후에는 출입문이나 방충망 없이 창문은 열어 놓지 않도록 하고, 자기 전 샤워를 하면 도움이 되고요.

생활 주변 물이 고인 곳에 모기 유충 서식지나 모기 발생원을 확인하고 관할 보건소 방역기동반에 신고하는 게 좋습니다.

많이 본 뉴스 하나 더 볼까요?

지난해 갈비뼈가 드러날 정도로 앙상하게 말라 '갈비 사자'로 불렸던 바람이, 기억하실 텐데요.

바람이의 새 보금자리인 청주동물원이, 국내 첫 거점동물원으로 지정돼 토종동물 보존과 야생동물 구조 등의 역할을 하게 됐습니다.



YTN 엄지민 (thumb@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