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피방송도 없던 한강공원 침수, 올해도 반복...경찰, 내사 착수

단독 대피방송도 없던 한강공원 침수, 올해도 반복...경찰, 내사 착수

2024.06.28. 오후 11:0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2년 전 강물이 불어나면서 한강공원 시민들이 고립되는 사고가 났었는데, 당시 서울시는 안전 조치를 강화하겠다며 재발 방지를 공언했었습니다.

그런데 저희 취재 결과 최근 같은 사고가 또 일어났는데, 이번에도 역시 제대로 된 안내방송이나 대피조치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찰이 관계자들의 직무유기 여부를 따져보고 있습니다.

박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재작년 추석 연휴 마지막 날, 서울 반포한강공원에서 갑작스레 강물이 밀려들며 일부 시민이 고립됐다가 구조됐습니다.

만조 때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덩달아 한강 수위도 올라가 지대가 낮은 한강공원 일부 지역이 침수된 겁니다.

바닷물이 높아지는 매달 그믐과 보름 대조기마다 반복되는 일이지만, 당시 서울시는 아무런 안전 조치를 하지 않아 논란이 일었습니다.

사고 뒤 서울시는 부랴부랴 안내방송을 하고 침수가 우려되면 안전 부문 관계자들을 투입해 대피시키는 등 예방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취재 결과 두 달 전인 지난 4월 8일 밤에도 같은 일이 벌어져 시민 20여 명이 경찰과 소방에 구조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당일 물이 차오를 당시에도 현장을 통제하는 인원은 없었고, 대피 방송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경찰은 최근 이와 관련해 서울시 산하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들에 대한 입건 전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관계자들이 재작년 사고로 이미 위험성을 인지하고도 대조기가 언제인지 제대로 파악도 하지 않는 등 직무유기 소지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대해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는 겨울이나 봄에는 유량이 적어 대조기에도 침수되는 경우가 많지 않아 따로 통제 인원을 배치하진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다만, 매일 8차례 해오던 관련 안내 방송을 지난 4월 사고 이후에는 10차례로 늘렸고 침수 인접 시기 안전 보안관 순찰을 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본격적인 장마와 함께, 자칫 인명 사고로 이어질 우려도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박정현입니다.


촬영기자 : 이근혁
디자인 : 전휘린
화면제공 : 시청자 제보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