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여름철 자주 사용하는 휴대용 목 선풍기에서 높은 수치의 전자파가 발생한다는 시민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지난 2022년부터 이듬해 사이 시중에 판매된 목 선풍기 4종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한 결과, 평균 108mG(밀리가우스), 최대 421mG의 전자파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센터는 2∼4mG 이상 세기 전자파에 장기간 노출된 아이들 집단에서 백혈병 발병이 높아졌다는 국제암연구소 결과를 바탕으로 목 선풍기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4mG의 47∼105배가 넘는 높은 수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중국산 헤어드라이어에서는 천113mG의 전자파가, 애플 노트북 어댑터에서는 213mG의 전자파가 각각 측정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센터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 30㎝ 이상 거리를 두면 전자파 세기가 4mG 이하로 줄어든다며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현재 정부가 전자파 안전 기준을 833mG로 정하고 있는 점을 비판하며, 실효성 있는 안전 지침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지난 2022년부터 이듬해 사이 시중에 판매된 목 선풍기 4종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한 결과, 평균 108mG(밀리가우스), 최대 421mG의 전자파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센터는 2∼4mG 이상 세기 전자파에 장기간 노출된 아이들 집단에서 백혈병 발병이 높아졌다는 국제암연구소 결과를 바탕으로 목 선풍기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4mG의 47∼105배가 넘는 높은 수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중국산 헤어드라이어에서는 천113mG의 전자파가, 애플 노트북 어댑터에서는 213mG의 전자파가 각각 측정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센터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 30㎝ 이상 거리를 두면 전자파 세기가 4mG 이하로 줄어든다며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현재 정부가 전자파 안전 기준을 833mG로 정하고 있는 점을 비판하며, 실효성 있는 안전 지침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