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오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나온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탄핵 공작'이라고 맞받았는데요.
헌법재판소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영수, 김다현 기자 나와주시죠!
[기자]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여섯 번째 변론기일 내용 정리해드립니다. 오늘 오전 10시에 시작한 변론은 8시간여 만인 6시 10분에 끝났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헌법재판소에서 서울구치소로 돌아갔고요. 윤 대통령이 오늘 발언한 건 한 차례였어요. 어떤 내용이었습니까?
[기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윤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을 하자 윤석열 대통령은 여기에 직접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윤 대통령은 일단 특전사령관과 통화했던 이유는 국회 상황이 혼잡했기 때문에 안전 문제에 대해서 확인하려는 차원에서 전화를 한 거라고 설명을 했고요. 또 자신은 사람이라는 표현을 두고 인원이라는 말을 써본 적이 없다면서 곽종근 전 사령관의 증언을 정면 반박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은 특히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공작과 특전사령관의 김병주 의원 유튜브 출연이 내란 프레임과 또 탄핵 공작의 시작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발언하기 전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증인신문이 있었는데요.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비화폰으로 전화해서 국회 의결정족수가 안 된 것 같다면서 의사당 안에 들어가서 사람 데리고 나오라고 있던 진술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당시 데리고 나오라고 한 대상이 국회의원이 맞는지 거듭 질문이 있었는데요. 여기에서도 정확하게 맞는다고 답변했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해서 조금 설명을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707 대원들이 정문에서 대치하는 상황이었고 본관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했다면서 안쪽에 요원이 없으니 끌어내라고 한 건 국회의원이 맞다, 이해했다 이렇게 강조했습니다. 오늘 이 표현을 두고 공방이 있었습니다. 의원이냐, 요원이냐. 이건 어떤 논란이었습니까?
[기자]
먼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금 저희가 나와 있는 헌법재판소에 증인으로 출석을 했을 때 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끌어내라고 한 것이다, 이렇게 주장을 하면서 논란이 일었는데요. 곽종근 전 사령관은 대통령으로부터도 이 같은 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을 했는데 대통령 측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한 적이 없다고 부정을 했습니다. 오히려 곽 전 사령관이 의원을 사람 또 인원 이렇게 말을 바꿔가면서 표현을 하고 있다고 지적을 했고요. 또 이에 대해서 정형식 헌법재판관도 비슷한 취지의 질문을 했습니다. 말이 자꾸 바뀐다면서 구체적으로 국회의원이라는 표현을 들었느냐 이렇게 물었는데요. 곽 전 사령관은 인원이라고 들었다고 답을 했습니다. 다만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이런 말까지 들었다고 해서 사실상 본인은 국회의원을 의미하는 걸로 받아들였다고 계속해서 주장했습니다.
[기자]
오늘 오전에는 김현태 707특임단장이 증인으로 나왔습니다. 1시간 40분 정도 증인신문이 진행됐고요. 김 단장은 곽종근 사령관으로부터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데 들어갈 수 없겠느냐의 취지의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이게 강한 어조는 아니었고 상급기관에서 받은 지시를 전달하는 뉘앙스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전기라도 차단하는 방법이 없겠느냐는 지시를 받은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다만 김 단장은 곽종근 전 사령관의 지시 가운데 국회의원이나 끌어내라는 워딩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발언이 주목되는 건 김 단장이 지난해 12월에 했던 말이랑 좀 다르기 때문이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지난해 12월 김 단장은 기자회견을 자처한 인물입니다. 당시에는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데 가능하겠느냐, 국회의원 150명이 모이면 안 된다, 이런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는데요. 그런데 오늘은 말씀하셨던 것처럼 150명, 이 숫자만 확실하게 들었다고 입장을 살짝 바꾼 겁니다.
오늘 김 단장이 증인신문을 마친 뒤 돌아가는 길에 기자들을 만났는데요. 이 같은 질문이 나왔습니다. 다만 김 단장은 말을 바꾼 게 아니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당시에도 150명 이렇게 숫자만 들었다고 했는데 끌어내라는 지시가 없었느냐, 이 같은 기자들 질문이 이어져서 그런 뉘앙스였다, 이 정도로만 설명을 했다는 겁니다.
[기자]
오늘 증인이 총 3명이었습니다.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까지 증인신문이 이어졌습니다. 윤 대통령 측이 신청한 증인이고요. 야당 주도의 국회 예산 삭감 관련 증언을 쏟아냈습니다. 박춘섭 수석은 정부 예산안을 일방적으로 단독처리한 사례는 헌정 사상 처음이라고 말했고요. 국정운영의 핵심인 예산을 건드려서 문제가 된 거냐는 대통령 측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국회 측에서는 미국에서 예산안 문제로 셧다운이 22차례 발생했다면서 행정부가 군대를 동원해 의회를 압박했다고 들은 적이 있냐고 물었습니다. 박 수석은 들은 적이 없다면서도 양국의 제도의 차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오늘 탄핵심판 변론 내용 정리해 드렸고요. 상암동 스튜디오 나와주십시오.
YTN 김영수·김다현 (dasam08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나온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탄핵 공작'이라고 맞받았는데요.
헌법재판소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영수, 김다현 기자 나와주시죠!
[기자]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여섯 번째 변론기일 내용 정리해드립니다. 오늘 오전 10시에 시작한 변론은 8시간여 만인 6시 10분에 끝났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헌법재판소에서 서울구치소로 돌아갔고요. 윤 대통령이 오늘 발언한 건 한 차례였어요. 어떤 내용이었습니까?
[기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윤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을 하자 윤석열 대통령은 여기에 직접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윤 대통령은 일단 특전사령관과 통화했던 이유는 국회 상황이 혼잡했기 때문에 안전 문제에 대해서 확인하려는 차원에서 전화를 한 거라고 설명을 했고요. 또 자신은 사람이라는 표현을 두고 인원이라는 말을 써본 적이 없다면서 곽종근 전 사령관의 증언을 정면 반박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은 특히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공작과 특전사령관의 김병주 의원 유튜브 출연이 내란 프레임과 또 탄핵 공작의 시작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발언하기 전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증인신문이 있었는데요.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비화폰으로 전화해서 국회 의결정족수가 안 된 것 같다면서 의사당 안에 들어가서 사람 데리고 나오라고 있던 진술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당시 데리고 나오라고 한 대상이 국회의원이 맞는지 거듭 질문이 있었는데요. 여기에서도 정확하게 맞는다고 답변했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해서 조금 설명을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707 대원들이 정문에서 대치하는 상황이었고 본관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했다면서 안쪽에 요원이 없으니 끌어내라고 한 건 국회의원이 맞다, 이해했다 이렇게 강조했습니다. 오늘 이 표현을 두고 공방이 있었습니다. 의원이냐, 요원이냐. 이건 어떤 논란이었습니까?
[기자]
먼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금 저희가 나와 있는 헌법재판소에 증인으로 출석을 했을 때 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끌어내라고 한 것이다, 이렇게 주장을 하면서 논란이 일었는데요. 곽종근 전 사령관은 대통령으로부터도 이 같은 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을 했는데 대통령 측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한 적이 없다고 부정을 했습니다. 오히려 곽 전 사령관이 의원을 사람 또 인원 이렇게 말을 바꿔가면서 표현을 하고 있다고 지적을 했고요. 또 이에 대해서 정형식 헌법재판관도 비슷한 취지의 질문을 했습니다. 말이 자꾸 바뀐다면서 구체적으로 국회의원이라는 표현을 들었느냐 이렇게 물었는데요. 곽 전 사령관은 인원이라고 들었다고 답을 했습니다. 다만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이런 말까지 들었다고 해서 사실상 본인은 국회의원을 의미하는 걸로 받아들였다고 계속해서 주장했습니다.
[기자]
오늘 오전에는 김현태 707특임단장이 증인으로 나왔습니다. 1시간 40분 정도 증인신문이 진행됐고요. 김 단장은 곽종근 사령관으로부터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데 들어갈 수 없겠느냐의 취지의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이게 강한 어조는 아니었고 상급기관에서 받은 지시를 전달하는 뉘앙스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전기라도 차단하는 방법이 없겠느냐는 지시를 받은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다만 김 단장은 곽종근 전 사령관의 지시 가운데 국회의원이나 끌어내라는 워딩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발언이 주목되는 건 김 단장이 지난해 12월에 했던 말이랑 좀 다르기 때문이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지난해 12월 김 단장은 기자회견을 자처한 인물입니다. 당시에는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데 가능하겠느냐, 국회의원 150명이 모이면 안 된다, 이런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는데요. 그런데 오늘은 말씀하셨던 것처럼 150명, 이 숫자만 확실하게 들었다고 입장을 살짝 바꾼 겁니다.
오늘 김 단장이 증인신문을 마친 뒤 돌아가는 길에 기자들을 만났는데요. 이 같은 질문이 나왔습니다. 다만 김 단장은 말을 바꾼 게 아니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당시에도 150명 이렇게 숫자만 들었다고 했는데 끌어내라는 지시가 없었느냐, 이 같은 기자들 질문이 이어져서 그런 뉘앙스였다, 이 정도로만 설명을 했다는 겁니다.
[기자]
오늘 증인이 총 3명이었습니다.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까지 증인신문이 이어졌습니다. 윤 대통령 측이 신청한 증인이고요. 야당 주도의 국회 예산 삭감 관련 증언을 쏟아냈습니다. 박춘섭 수석은 정부 예산안을 일방적으로 단독처리한 사례는 헌정 사상 처음이라고 말했고요. 국정운영의 핵심인 예산을 건드려서 문제가 된 거냐는 대통령 측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국회 측에서는 미국에서 예산안 문제로 셧다운이 22차례 발생했다면서 행정부가 군대를 동원해 의회를 압박했다고 들은 적이 있냐고 물었습니다. 박 수석은 들은 적이 없다면서도 양국의 제도의 차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오늘 탄핵심판 변론 내용 정리해 드렸고요. 상암동 스튜디오 나와주십시오.
YTN 김영수·김다현 (dasam08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