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연세대학교 수시모집 논술시험 유출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시험 시작 전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에 문제가 유출된 사실은 없다고 결론 내린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사건 당시 감독관의 실수로 미리 배부된 시험지를 촬영해 챗GPT로 풀어본 수험생 1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지난달 말 불구속 송치했습니다.
이 수험생은 시험이 끝난 뒤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 챗GPT를 활용했다는 글을 올렸는데, 챗GPT의 풀이는 오답이었고 낙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디시인사이드를 압수수색 해 관련 글을 작성한 8명을 특정했는데, 나머지 7명은 논술 시험이 끝난 뒤에 사진 등을 올린 것으로 보고 무혐의 처분했습니다.
시험지를 미리 받은 수험생 가운데 1명이 "특정 문항에 도형 그림이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리기도 했지만, 이를 문제 유출로 보기는 어려웠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연세대 자연계열 수시모집 논술시험 고사장에서 한 감독관의 착오로 시험 시작 1시간 전 문제지가 배부됐다가 회수되면서 문제 유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YTN 유서현 (ryu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사건 당시 감독관의 실수로 미리 배부된 시험지를 촬영해 챗GPT로 풀어본 수험생 1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지난달 말 불구속 송치했습니다.
이 수험생은 시험이 끝난 뒤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 챗GPT를 활용했다는 글을 올렸는데, 챗GPT의 풀이는 오답이었고 낙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디시인사이드를 압수수색 해 관련 글을 작성한 8명을 특정했는데, 나머지 7명은 논술 시험이 끝난 뒤에 사진 등을 올린 것으로 보고 무혐의 처분했습니다.
시험지를 미리 받은 수험생 가운데 1명이 "특정 문항에 도형 그림이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리기도 했지만, 이를 문제 유출로 보기는 어려웠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연세대 자연계열 수시모집 논술시험 고사장에서 한 감독관의 착오로 시험 시작 1시간 전 문제지가 배부됐다가 회수되면서 문제 유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YTN 유서현 (ryu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