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측 "선관위 서버 보안 취약, 외부침투 가능"
’채용 비리’ 들며 "선관위, 부정 있어도 감췄을 것"
"취약점 있을 수 있다…현실적으론 선거부정 불가"
’채용 비리’ 들며 "선관위, 부정 있어도 감췄을 것"
"취약점 있을 수 있다…현실적으론 선거부정 불가"
AD
[앵커]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엔 과거 선관위 시스템 점검에 관여한 국정원과 선관위 관계자도 증인으로 나와 '부정선거 의혹'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습니다.
김태원 기자입니다.
[기자]
윤 대통령 측은 재작년 선관위 보안점검에 참여했던 국정원 전 차장을 신문하면서 당시 선관위 서버가 보안에 취약했고, 외부 침투 가능성이 있었단 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도태우 / 대통령 측 대리인 : 심지어 카페에 앉아서 선거망을 주무를 수 있었다고 보고서에 나오죠?]
[백종욱 / 전 국정원 3차장 : 그렇습니다.]
이 밖에도 선관위 고위직 자녀들의 채용 비리 의혹을 들며, 선거부정이 있더라도 조직의 폐쇄성 때문에 감췄을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도태우 / 대통령 측 대리인 : 유사한 방식의 폐쇄성이 작동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편이 일반 경험에 부합합니다.]
[김용빈 /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 (선거관리 내부감시) 제도 개선이 다 됐습니다.]
국회 측은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을 순 있지만, 부정선거는 없었고 선거 부정이 이뤄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박했습니다.
[전형호 / 국회 측 대리인 : 각각의 이해관계인들이 잔뜩 모인 곳에서 저런 투표 조작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김용빈 /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 그러니까 이게 저희가 쉽게 동의 못 하는 시나리오 구조거든요.]
이어, 정작 국정원도 부정선거가 이뤄졌다는 증거는 찾지 못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습니다.
[이원재 / 국회 측 대리인 : 수많은 사람의 눈을 피해서 해킹한 데이터에 맞춰서 실물 투표지를 바꿔치기해야 하는 거 같은데요,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합니까?]
[백종욱 / 전 국정원 3차장 : 저는 부정선거에 대해서는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그것은 저희가 본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윤 대통령 측은 계엄이 정당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부정선거 의혹을 따져볼 필요가 있단 주장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헌재는 특정 선거구의 실제 투표자와 명부상 투표자 수가 일치하는지 대조해달라는 윤 대통령 측의 검증 신청을 재차 기각했습니다.
YTN 김태원입니다.
촬영기자 : 홍성노 박진우
영상편집 : 송보현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엔 과거 선관위 시스템 점검에 관여한 국정원과 선관위 관계자도 증인으로 나와 '부정선거 의혹'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습니다.
김태원 기자입니다.
[기자]
윤 대통령 측은 재작년 선관위 보안점검에 참여했던 국정원 전 차장을 신문하면서 당시 선관위 서버가 보안에 취약했고, 외부 침투 가능성이 있었단 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도태우 / 대통령 측 대리인 : 심지어 카페에 앉아서 선거망을 주무를 수 있었다고 보고서에 나오죠?]
[백종욱 / 전 국정원 3차장 : 그렇습니다.]
이 밖에도 선관위 고위직 자녀들의 채용 비리 의혹을 들며, 선거부정이 있더라도 조직의 폐쇄성 때문에 감췄을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도태우 / 대통령 측 대리인 : 유사한 방식의 폐쇄성이 작동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편이 일반 경험에 부합합니다.]
[김용빈 /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 (선거관리 내부감시) 제도 개선이 다 됐습니다.]
국회 측은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을 순 있지만, 부정선거는 없었고 선거 부정이 이뤄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박했습니다.
[전형호 / 국회 측 대리인 : 각각의 이해관계인들이 잔뜩 모인 곳에서 저런 투표 조작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김용빈 /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 그러니까 이게 저희가 쉽게 동의 못 하는 시나리오 구조거든요.]
이어, 정작 국정원도 부정선거가 이뤄졌다는 증거는 찾지 못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습니다.
[이원재 / 국회 측 대리인 : 수많은 사람의 눈을 피해서 해킹한 데이터에 맞춰서 실물 투표지를 바꿔치기해야 하는 거 같은데요,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합니까?]
[백종욱 / 전 국정원 3차장 : 저는 부정선거에 대해서는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그것은 저희가 본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윤 대통령 측은 계엄이 정당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부정선거 의혹을 따져볼 필요가 있단 주장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헌재는 특정 선거구의 실제 투표자와 명부상 투표자 수가 일치하는지 대조해달라는 윤 대통령 측의 검증 신청을 재차 기각했습니다.
YTN 김태원입니다.
촬영기자 : 홍성노 박진우
영상편집 : 송보현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