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가수 임영웅의 사진을 도용한 투자 사기가 횡행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오늘(14일) 서울경제는 투자 사기 업체 A사를 사기 및 유사수신행위법 위반으로 수사해달라는 고소장이 동시다발적으로 접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A사는 임영웅의 타사 광고 사진을 도용해 홈페이지에 내걸고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펀드에 투자하면 연 146%의 고수익을 매일 지급받을 수 있다며 투자자들을 속인 혐의를 받는다.
또, 수익금 인출을 못하도록 막아두고 잠적해버리는 행태가 반복되기도 했다. 이러한 수법에 당한 피해 금액은 인당 100만 원부터 최대 9억 원이다.
A사는 임영웅의 광고 사진뿐만 아니라, 사업자 번호, 주소와 대표명 등도 도용했다.
금융감독원 측도 나서 A사 홈페이지 접속 차단을 경찰에 요청했지만, 업체는 도메인 주소를 바꿔가며 사기 행각을 이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고 사진을 도용당한 임영웅 측 역시 이를 주시하고 있다. 소속사 물고기뮤직은 이날 YTN에 "허위 광고에 대해 인지하고 있고, 불법 행위에 대해 강력히 대응하고 있다"며 "모니터링도 강화해 필요한 법적 조치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해외에서 이뤄지는 불법 광고의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울 수 있어 공식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만을 신뢰해주시길 바라며, 출처가 불분명한 광고 및 제품 구매에 각별한 주의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YTN 오지원 (bluejiw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14일) 서울경제는 투자 사기 업체 A사를 사기 및 유사수신행위법 위반으로 수사해달라는 고소장이 동시다발적으로 접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A사는 임영웅의 타사 광고 사진을 도용해 홈페이지에 내걸고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펀드에 투자하면 연 146%의 고수익을 매일 지급받을 수 있다며 투자자들을 속인 혐의를 받는다.
또, 수익금 인출을 못하도록 막아두고 잠적해버리는 행태가 반복되기도 했다. 이러한 수법에 당한 피해 금액은 인당 100만 원부터 최대 9억 원이다.
A사는 임영웅의 광고 사진뿐만 아니라, 사업자 번호, 주소와 대표명 등도 도용했다.
금융감독원 측도 나서 A사 홈페이지 접속 차단을 경찰에 요청했지만, 업체는 도메인 주소를 바꿔가며 사기 행각을 이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고 사진을 도용당한 임영웅 측 역시 이를 주시하고 있다. 소속사 물고기뮤직은 이날 YTN에 "허위 광고에 대해 인지하고 있고, 불법 행위에 대해 강력히 대응하고 있다"며 "모니터링도 강화해 필요한 법적 조치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해외에서 이뤄지는 불법 광고의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울 수 있어 공식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만을 신뢰해주시길 바라며, 출처가 불분명한 광고 및 제품 구매에 각별한 주의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YTN 오지원 (bluejiw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