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AD
광주 빌라 화재 현장에서 강제 개방으로 파손된 현관문 수리비를 소방서에 요구한 일이 전해지자 해당 소방서를 향해 기부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25일 광주 북부소방서는 지난 23일부터 현재까지 소방서를 방문하거나 전화로 기부를 문의한 개인이나 단체는 17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500여만 원에 달하는 수리비 전액을 대신 내주겠다는 문의도 있었고, 친구들과 함께 돈을 모았다며 성금을 하겠다는 학생들도 있었다. 또 현장에서 고생하는 소방관들을 위해 영양제를 주고 싶다는 기업의 문의도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북부소방서는 광주소방본부 예산으로 수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하면서 "마음만 받겠다"고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11일 광주 북구 신안동 한 빌라 2층에서 불이 나 인명 수색을 하던 소방대원들이 6세대의 문을 강제 개방했다. 반응이 없던 일부 세대에 추가 사상자가 있을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후 화재보험에 가입돼있지 않은 주민들은 파손된 잠금 장치와 현관문 수리비를 소방 당국에 요청했다.
그러나 소방 당국은 행정보상 책임보험사로부터 현관문 파손 건에 대해 보상이 불가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소방관의 실수나 위법 행위로 인한 재산 피해에만 보상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광주소방본부 손실보상 예산 1,000만 원이 있었으나 수리비 500여만 원을 한꺼번에 쓰기에는 과도하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강기정 광주시장은 24일 행정에서 책임질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소방본부는 현관문과 잠금 장치 수리비 500여만 원에 대한 손실보상위원회를 열어 주민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5일 광주 북부소방서는 지난 23일부터 현재까지 소방서를 방문하거나 전화로 기부를 문의한 개인이나 단체는 17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500여만 원에 달하는 수리비 전액을 대신 내주겠다는 문의도 있었고, 친구들과 함께 돈을 모았다며 성금을 하겠다는 학생들도 있었다. 또 현장에서 고생하는 소방관들을 위해 영양제를 주고 싶다는 기업의 문의도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북부소방서는 광주소방본부 예산으로 수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하면서 "마음만 받겠다"고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11일 광주 북구 신안동 한 빌라 2층에서 불이 나 인명 수색을 하던 소방대원들이 6세대의 문을 강제 개방했다. 반응이 없던 일부 세대에 추가 사상자가 있을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후 화재보험에 가입돼있지 않은 주민들은 파손된 잠금 장치와 현관문 수리비를 소방 당국에 요청했다.
그러나 소방 당국은 행정보상 책임보험사로부터 현관문 파손 건에 대해 보상이 불가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소방관의 실수나 위법 행위로 인한 재산 피해에만 보상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광주소방본부 손실보상 예산 1,000만 원이 있었으나 수리비 500여만 원을 한꺼번에 쓰기에는 과도하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강기정 광주시장은 24일 행정에서 책임질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소방본부는 현관문과 잠금 장치 수리비 500여만 원에 대한 손실보상위원회를 열어 주민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