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복원센터 동식물, 산불 피해 이동시켜
영양군에 위치한 복원센터 4km 앞까지 산불 접근
멸종위기 28종 4,907개체, 모두 긴급 이송 결정
영양군에 위치한 복원센터 4km 앞까지 산불 접근
멸종위기 28종 4,907개체, 모두 긴급 이송 결정
AD
[앵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영양군까지 확산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을 복원하는 연구센터 코앞까지 들이닥쳤습니다.
어렵사리 증식에 성공한 동식물이 잿더미가 되는 걸 막기 위해 이들을 안전지대로 옮기는 긴급 작전이 펼쳐졌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구멍이 숭숭 뚫린 나무 상자를 우리 안으로 옮깁니다.
문을 올리자 붉은 부리의 먹황새가 검은 날개를 펼치며 날아갑니다.
케이지를 덮은 담요를 걷어내니 또 다른 멸종위기 조류인 참수리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대피해 온 동물들입니다.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은 계속 번져 영양군에 위치한 복원센터 4km 앞까지 다가왔습니다.
어렵게 증식시킨 멸종위기종들이 잿더미가 될 수 있는 상황.
관리 중이던 28종 4천907개체를 모두 긴급 이송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정길상 /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복원연구실장 : 자연 방사하기 전에 산불에 의해서 소실이 되면 지난한 시간이 또 걸리거든요, 이런 개체를 증식시키기 위해서는요.]
이틀에 걸쳐 조류는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본원으로, 어류·양서류는 경북 울진 민물고기연구센터에, 곤충과 식물 역시 불길이 닿지 않는 장소로 보냈습니다.
앞서 산불 확산 지역에서 의성 고운사 등이 소장한 보물 등 문화유산 6백여 점이 화마를 피해 안전지대로 옮겨졌습니다.
사상 최악의 산불로부터 유무형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 전례 없던 대피 작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YTN 이문석입니다.
영상편집 : 김지연
화면제공 : 국립생태원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영양군까지 확산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을 복원하는 연구센터 코앞까지 들이닥쳤습니다.
어렵사리 증식에 성공한 동식물이 잿더미가 되는 걸 막기 위해 이들을 안전지대로 옮기는 긴급 작전이 펼쳐졌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구멍이 숭숭 뚫린 나무 상자를 우리 안으로 옮깁니다.
문을 올리자 붉은 부리의 먹황새가 검은 날개를 펼치며 날아갑니다.
케이지를 덮은 담요를 걷어내니 또 다른 멸종위기 조류인 참수리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대피해 온 동물들입니다.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은 계속 번져 영양군에 위치한 복원센터 4km 앞까지 다가왔습니다.
어렵게 증식시킨 멸종위기종들이 잿더미가 될 수 있는 상황.
관리 중이던 28종 4천907개체를 모두 긴급 이송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정길상 /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복원연구실장 : 자연 방사하기 전에 산불에 의해서 소실이 되면 지난한 시간이 또 걸리거든요, 이런 개체를 증식시키기 위해서는요.]
이틀에 걸쳐 조류는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본원으로, 어류·양서류는 경북 울진 민물고기연구센터에, 곤충과 식물 역시 불길이 닿지 않는 장소로 보냈습니다.
앞서 산불 확산 지역에서 의성 고운사 등이 소장한 보물 등 문화유산 6백여 점이 화마를 피해 안전지대로 옮겨졌습니다.
사상 최악의 산불로부터 유무형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 전례 없던 대피 작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YTN 이문석입니다.
영상편집 : 김지연
화면제공 : 국립생태원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