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은 복귀 아니다"...수업 참여 두고 갈등 계속

"등록은 복귀 아니다"...수업 참여 두고 갈등 계속

2025.03.31. 오후 10:2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정부가 정한 복귀 시한이 끝나면서 막판까지 등록하지 않고 반발하던 의대생 대부분은 결국 복학을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수업 거부 방침은 여전한데, 정부는 복귀는 등록이 아닌 수업 참여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정한 시한이 막바지에 다다르자 버티던 의대생들도 결국 등록을 선택했습니다.

전국 상당수 의대생들의 복귀에 이어 충북대와 중앙대 의대 휴학생들이 전원 복학 신청을 마쳤고,

전남대 의대는 학생들이 전원 복귀하겠다는 의견을 학교 측에 전달해 놓은 상황입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집단 휴학의 경우, 학생들이 법적 문제를 제기한다고 해도 승소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일부 학교에서는 복학원에 수업에 참여하겠다는 조항을 추가해 서명을 받은 걸로 알려졌지만,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할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교육부는 등록이 아닌 수업 참여가 복귀를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복귀율도 추가 등록과 실제 수업 참여 여부까지 지켜보고 집계할 것으로 보입니다.

집단 제적 위기를 넘기려 등록만 해놓고 수업은 계속 거부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환자 단체는 학생들이 무늬만 복귀를 한다면 대국민 사기극이 될 것이라며 제적을 예고했으면 그대로 시행하라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최종 확정되는 4월 30일까지 수업 복귀를 둘러싼 의대생과 정부, 학교의 신경전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YTN 김주영입니다.


영상편집:강은지
디자인:이가은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