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4월 7일 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서울신문입니다.
지난 석 달 가까이 대규모 집회가 이어졌던헌법재판소 앞과 한남동.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의 모습은어땠을까요? 조용했습니다. 광장을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헌재 주변으로 가보겠습니다. 어제의 풍경인데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고 맞은 첫 주말. 한복을 입은 외국인 관광객이 보입니다. 우리가 아는 북촌의 모습이죠. 안국역을 둘러싼 차벽과 바리케이드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한남동 관저 인근도 주말 내내 조용했습니다. '그 많던 시위대는 다 어디로 갔을까' 신기할 정도입니다. 탄핵 찬반 양측의 충돌도 자주 있었고 1월엔 서부지법 폭동 사태도 있었죠. 그만큼 갈등과 분열이 심각했는데 다행히선고일인 4일엔 별다른 불상사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전광훈 목사 등 윤 전 대통령 일부 지지층은 광화문에서 집회를 이어가고있습니다. 경찰은 당분간 혹시 모를 사태에 만반의 대비를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다음 경향신문입니다.
경북 대형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주택 설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재민들은 두 번 울고 있는데요. 일단 입주까지 한 달 이상이 걸리고, 임시주택도 원래 살던 곳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경북도에 따르면 2,800채가 넘는 임시주택이 필요합니다. 빠른 곳은 5월 초, 늦어도 5월 중에는 임시주택을 다 짓겠다는 계획인데실제 입주까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부지 선정이 완료된 97곳 중 기반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16곳에 불과합니다. 이재민들은 당장 올해 농사가 걱정입니다. 생업이 농업인데, 농경지와 대피시설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이죠. 임시주택의 대부분이 단지형으로 조성됩니다. 즉 이재민들이 원래 삶의 터전과는 멀리 떨어진, 원거리 임시주택에 들어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새집을 짓는 건 더 어렵습니다. 주택 전소의 경우 지원금은 2천~3천6백만 원.여기에 전국에서 모인 성금이 배분된다고는하지만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하겠죠. 이재민들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갈 길도 막막한 상황입니다.
끝으로 중앙일보입니다.
'333만 원' 아이폰이 현실화될까요? 이 배경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있습니다. 애플이 직격탄을 세게 맞았고, 삼성전자는분주하게 계산기를 두드리는 중인데요. 관세 정책이 스마트폰 시장에 어떤 파도를일으켰는지 보겠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기존 관세 20%에 상호관세34%까지, 총 54%의 관세를 때렸습니다. 그런데 애플은 전체 아이폰 판매량의 90%를중국에서 만듭니다. 당연히 피해가 클 수밖에요. 아이폰16 프로맥스의 현재 미국 내 판매가격이 약 233만 원인데 상호관세가 적용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서 약 333만 원에 이를 거란전망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삼성전자의 대응 전략은 어떨까요? 베트남, 인도 등 다변화해온 해외 생산기지를 통해 관세 부담을 줄일 거란 분석입니다. 우선 삼전은 베트남에서 미국 판매용 스마트폰을 만듭니다. 미국이 베트남에 46%의 관세를 때리긴 했는데, 그래도 애플에 비해 미국 내 타격은 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유럽 등 미국 이외 시장에선 애플이나중국 업체와의 경쟁이 더 치열해질 거로보입니다. 관건은 트럼프 행정부가 애플에 관세를 면제해줄지 여부입니다. 트럼프는 1기 때 애플의 일부 중국 생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유예해준 적이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스마트폰 시장도 예외 없이 술렁이는 모습입니다.
4월 7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4월 7일 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서울신문입니다.
지난 석 달 가까이 대규모 집회가 이어졌던헌법재판소 앞과 한남동.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의 모습은어땠을까요? 조용했습니다. 광장을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헌재 주변으로 가보겠습니다. 어제의 풍경인데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고 맞은 첫 주말. 한복을 입은 외국인 관광객이 보입니다. 우리가 아는 북촌의 모습이죠. 안국역을 둘러싼 차벽과 바리케이드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한남동 관저 인근도 주말 내내 조용했습니다. '그 많던 시위대는 다 어디로 갔을까' 신기할 정도입니다. 탄핵 찬반 양측의 충돌도 자주 있었고 1월엔 서부지법 폭동 사태도 있었죠. 그만큼 갈등과 분열이 심각했는데 다행히선고일인 4일엔 별다른 불상사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전광훈 목사 등 윤 전 대통령 일부 지지층은 광화문에서 집회를 이어가고있습니다. 경찰은 당분간 혹시 모를 사태에 만반의 대비를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다음 경향신문입니다.
경북 대형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주택 설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재민들은 두 번 울고 있는데요. 일단 입주까지 한 달 이상이 걸리고, 임시주택도 원래 살던 곳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경북도에 따르면 2,800채가 넘는 임시주택이 필요합니다. 빠른 곳은 5월 초, 늦어도 5월 중에는 임시주택을 다 짓겠다는 계획인데실제 입주까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부지 선정이 완료된 97곳 중 기반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16곳에 불과합니다. 이재민들은 당장 올해 농사가 걱정입니다. 생업이 농업인데, 농경지와 대피시설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이죠. 임시주택의 대부분이 단지형으로 조성됩니다. 즉 이재민들이 원래 삶의 터전과는 멀리 떨어진, 원거리 임시주택에 들어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새집을 짓는 건 더 어렵습니다. 주택 전소의 경우 지원금은 2천~3천6백만 원.여기에 전국에서 모인 성금이 배분된다고는하지만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하겠죠. 이재민들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갈 길도 막막한 상황입니다.
끝으로 중앙일보입니다.
'333만 원' 아이폰이 현실화될까요? 이 배경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있습니다. 애플이 직격탄을 세게 맞았고, 삼성전자는분주하게 계산기를 두드리는 중인데요. 관세 정책이 스마트폰 시장에 어떤 파도를일으켰는지 보겠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기존 관세 20%에 상호관세34%까지, 총 54%의 관세를 때렸습니다. 그런데 애플은 전체 아이폰 판매량의 90%를중국에서 만듭니다. 당연히 피해가 클 수밖에요. 아이폰16 프로맥스의 현재 미국 내 판매가격이 약 233만 원인데 상호관세가 적용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서 약 333만 원에 이를 거란전망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삼성전자의 대응 전략은 어떨까요? 베트남, 인도 등 다변화해온 해외 생산기지를 통해 관세 부담을 줄일 거란 분석입니다. 우선 삼전은 베트남에서 미국 판매용 스마트폰을 만듭니다. 미국이 베트남에 46%의 관세를 때리긴 했는데, 그래도 애플에 비해 미국 내 타격은 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유럽 등 미국 이외 시장에선 애플이나중국 업체와의 경쟁이 더 치열해질 거로보입니다. 관건은 트럼프 행정부가 애플에 관세를 면제해줄지 여부입니다. 트럼프는 1기 때 애플의 일부 중국 생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유예해준 적이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스마트폰 시장도 예외 없이 술렁이는 모습입니다.
4월 7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