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산선 붕괴' 수색 난항..."있을 수 없는 일"

'신안산선 붕괴' 수색 난항..."있을 수 없는 일"

2025.04.13. 오전 01: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경기 광명 신안산선 공사 붕괴 현장에서 마지막 실종자 1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비와 추가 붕괴 우려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인근 주민들은 사고에 대해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불안함과 불편함을 토로했습니다.

윤태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거대한 중장비가 하늘 높이 뻗어 있습니다.

경기 광명시에서 지하철 신안산선 공사 현장이 무너지면서 대형 크레인이 사고를 수습하고, 실종된 작업자를 찾기 위해 동원됐습니다.

사고가 난 지 13시간여 만에 다행히 20대 굴착기 기사를 지하 30m 지점에서 극적으로 구조했지만,

50대 작업자는 구체적으로 어디에 있는지 명확한 소재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소방 관계자 : 공간이 넓지는 않잖아요. 붕괴된 장소에 있을 거니까, 거기를 벗어나지는 않았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사고 현장 근처에는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 있던 탓에 지자체는 추가 피해를 막고자 한때 아파트 주민 등 2천4백여 명에게 대피령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처음 겪는 일에 주민들은 불안함을 호소했습니다.

[인근 주민 : (옆 아파트에 도시가스 공급이) 중단됐대요. 저희도 중단됐다고 방송은 나왔거든요. 되게 놀랐죠.]

일부 지역의 주택과 상가는 물 공급도 끊기면서 급수차가 동원되기도 했습니다.

혹시 모를 사고 위험성에 노란 통제선이 쳐지면서, 이곳에 통행이 제한되는 등 주민들 불편도 이어졌습니다.

인근 상인들도 붕괴 사고로 영업을 쉬어야 하는 등 피해를 봤다며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배복만 / 인근 상인 : 8차선이 무너지는 건 대한민국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고, (붕괴 사고 때문에 예약 손님을) 취소를 하는데, 고객분들에게서 항의도 많이 받고….]

붕괴 현장에서 100m가량 떨어진 초등학교에서는 사고 직후 30여 분만에 교직원들과 아이들이 대피를 마친 것으로 파악됐는데,

학교 운동장에 균열이 발견되기도 하면서 관계기관이 점검을 진행했습니다.

YTN 윤태인입니다.


촬영기자 : 신홍

영상편집 : 안홍현



YTN 윤태인 (c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