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승객과 운전자 등 14명 빠져나오지 못해 숨져
기록적 폭우로 인근 제방 무너지면서 하천수 유입
제방 부실공사 책임자들 기소…현장소장 중형 확정
도로 확장공사로 기존 제방 무단 철거…관리 소홀
’부실공사’ 의혹 불거지자 허위 시공계획서 꾸며내
기록적 폭우로 인근 제방 무너지면서 하천수 유입
제방 부실공사 책임자들 기소…현장소장 중형 확정
도로 확장공사로 기존 제방 무단 철거…관리 소홀
’부실공사’ 의혹 불거지자 허위 시공계획서 꾸며내
AD
[앵커]
재작년, 14명의 목숨을 앗아간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사고 당시 인근 제방이 무너지면서 하천수가 흘러들어온 게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이 제방을 부실하게 만든 혐의로 현장소장이 재판에 넘겨졌는데 대법원에서 중형이 확정됐습니다.
권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폭우가 쏟아졌던 재작년 7월 15일 아침, 충북 청주시 오송읍에 있는 궁평2지하차도엔 하천수가 흘러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순식간에 불어난 물로 시내버스를 비롯한 차량 17대가 잠기면서, 버스 승객과 운전자 등 14명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졌습니다.
원인으로 지목된 건 인근 제방으로, 기록적 폭우를 받아내지 못하고 터져버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방을 부실하게 만든 관리자들은 책임을 피해갈 수 없었는데, 현장소장 50대 A 씨에게 중형이 확정됐습니다.
앞서 1심에서 징역 7년 6개월, 2심에선 징역 6년을 받은 A 씨가 형량이 무겁다며 상고까지 나섰지만, 대법원이 상고를 기각한 겁니다.
A 씨는 도로 확장공사를 위해 기존에 있던 제방을 무단으로 철거한 뒤 임시 제방을 만들고 관리를 소홀히 했을 뿐만 아니라,
시공계획서나 도면 등이 있었던 것처럼 허위로 서류를 꾸미도록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고 직후 수사본부를 꾸린 검찰은 지난해 6월까지 A 씨뿐만 아니라 충북도와 청주시 공무원 등 사고 책임자 44명을 재판에 넘겼습니다.
현장소장 A 씨와 함께 제방 부실공사에 관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감리단장은 지난달 징역 4년이 확정된 바 있습니다.
YTN 권준수입니다.
영상편집; 안홍현
디자인; 박유동
YTN 권준수 (kjs81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재작년, 14명의 목숨을 앗아간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사고 당시 인근 제방이 무너지면서 하천수가 흘러들어온 게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이 제방을 부실하게 만든 혐의로 현장소장이 재판에 넘겨졌는데 대법원에서 중형이 확정됐습니다.
권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폭우가 쏟아졌던 재작년 7월 15일 아침, 충북 청주시 오송읍에 있는 궁평2지하차도엔 하천수가 흘러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순식간에 불어난 물로 시내버스를 비롯한 차량 17대가 잠기면서, 버스 승객과 운전자 등 14명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졌습니다.
원인으로 지목된 건 인근 제방으로, 기록적 폭우를 받아내지 못하고 터져버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방을 부실하게 만든 관리자들은 책임을 피해갈 수 없었는데, 현장소장 50대 A 씨에게 중형이 확정됐습니다.
앞서 1심에서 징역 7년 6개월, 2심에선 징역 6년을 받은 A 씨가 형량이 무겁다며 상고까지 나섰지만, 대법원이 상고를 기각한 겁니다.
A 씨는 도로 확장공사를 위해 기존에 있던 제방을 무단으로 철거한 뒤 임시 제방을 만들고 관리를 소홀히 했을 뿐만 아니라,
시공계획서나 도면 등이 있었던 것처럼 허위로 서류를 꾸미도록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고 직후 수사본부를 꾸린 검찰은 지난해 6월까지 A 씨뿐만 아니라 충북도와 청주시 공무원 등 사고 책임자 44명을 재판에 넘겼습니다.
현장소장 A 씨와 함께 제방 부실공사에 관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감리단장은 지난달 징역 4년이 확정된 바 있습니다.
YTN 권준수입니다.
영상편집; 안홍현
디자인; 박유동
YTN 권준수 (kjs81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