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틱톡
AD
최근 반려동물을 사람처럼 바꾸는 챗GPT 이미지 생성이 유행하고 있다.
14일(현지 시간) 뉴욕포스트는 최근 챗GPT 기능을 활용한 '동물의 인간화'가 틱톡과 인스타그램 등 SNS를 휩쓸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한 틱톡 이용자가 올린 "내 개를 사람으로 만들어 달라고 챗GPT에 요청했다"라는 영상이 190만 회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큰 주목을 받았다.
해당 영상에서 아이리시 세터 품종의 반려견이 소파에 앉아있는 사진은 몇 초 뒤 붉은 머리와 녹색 스웨터, 개 뼈 모양 목걸이 등을 특징으로 한 여성의 이미지로 바뀌었다.
이러한 이미지 변환은 앞서 유행했던 '지브리풍' 사진처럼 간단한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챗GPT에 사진을 올리고, 반려동물의 성별을 기재한 뒤 "사람으로 바꾸어 달라"고 입력하면 된다.
최근까지 인기를 끌었던 지브리풍 이미지에 이어 동물의 인간화, AI 액션 피규어로 제작하는 바비 인형 스타일의 이미지 생성 등도 새롭게 유행하는 가운데, 앞으로 AI 기능의 발전 속도에 맞춰 더 많은 유행이 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재스민 엔버그 이마케터 수석 소셜미디어 분석가는 최근 BBC와의 인터뷰에서 "생성형 AI는 사람들이 트렌드를 만들고 활용하는 것을 더 쉽고 빠르게 해준다"면서도 "다만 트렌드의 수명이 짧아져 대중들의 피로감이 더 빨리 찾아올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4일(현지 시간) 뉴욕포스트는 최근 챗GPT 기능을 활용한 '동물의 인간화'가 틱톡과 인스타그램 등 SNS를 휩쓸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한 틱톡 이용자가 올린 "내 개를 사람으로 만들어 달라고 챗GPT에 요청했다"라는 영상이 190만 회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큰 주목을 받았다.
틱톡
해당 영상에서 아이리시 세터 품종의 반려견이 소파에 앉아있는 사진은 몇 초 뒤 붉은 머리와 녹색 스웨터, 개 뼈 모양 목걸이 등을 특징으로 한 여성의 이미지로 바뀌었다.
이러한 이미지 변환은 앞서 유행했던 '지브리풍' 사진처럼 간단한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챗GPT에 사진을 올리고, 반려동물의 성별을 기재한 뒤 "사람으로 바꾸어 달라"고 입력하면 된다.
최근까지 인기를 끌었던 지브리풍 이미지에 이어 동물의 인간화, AI 액션 피규어로 제작하는 바비 인형 스타일의 이미지 생성 등도 새롭게 유행하는 가운데, 앞으로 AI 기능의 발전 속도에 맞춰 더 많은 유행이 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재스민 엔버그 이마케터 수석 소셜미디어 분석가는 최근 BBC와의 인터뷰에서 "생성형 AI는 사람들이 트렌드를 만들고 활용하는 것을 더 쉽고 빠르게 해준다"면서도 "다만 트렌드의 수명이 짧아져 대중들의 피로감이 더 빨리 찾아올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