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2호선 안전문 부착(정방형) 신형 단일 노선도 / 서울시 제공
AD
서울 지하철 호선별 노선도가 40여 년 만에 전면 교체된다.
서울시는 1974년 1호선 개통 이후 각기 다른 디자인으로 운영돼 온 '단일노선도'의 표준화를 추진해 내·외국인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는 신형 노선도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 노선도는 역 위치와 이동 방향, 지자체 경계 등 주요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급행·환승 등 표기체계도 호선별로 달라 이용객의 혼란을 초래해 왔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다국어 표기나 역번호도 부족해 관광객 편의 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서울시는 시각·색채·정보디자인 분야 전문가의 자문과 검토를 거쳐 새로운 표준 디자인을 마련했다.
신형 단일노선도는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안전문 부착형)의 세 가지 형태로 제작되며, 서울교통공사와 협의해 하반기부터 전동차와 승강장 등에 순차적으로 부착될 예정이다.
새 노선도에는 색각 이상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개선된 색상체계가 적용됐고, 환승 노선은 신호등 방식으로 표기해 시인성을 높였다. 역 번호와 다국어 병기 등 외국인 이용 편의도 강화됐다.
서울과 인접 자치구의 경계, 한강과 주요 분기점 등도 함께 표기돼 지리적 이해도를 높였다.
서울시는 이 외에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서울시청, DDP, 남산서울타워 등의 명소를 픽토그램으로 표현한 아이콘 14종을 개발해 노선도에 반영하고, 이를 활용한 기념 굿즈도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여의도역에는 세계 최초로 지하철 승강장 안전문에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신형 노선도를 영상으로도 제공한다. LG디스플레이의 55인치 OLED 패널 32대를 활용해 노선 정보뿐 아니라 운행 방향, 비상 안내까지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새롭게 발표한 노선도는 시각약자, 외국인 모두를 배려한 읽기 쉬운 디자인"이라며 "지하철을 더욱 편하게 이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는 1974년 1호선 개통 이후 각기 다른 디자인으로 운영돼 온 '단일노선도'의 표준화를 추진해 내·외국인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는 신형 노선도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 노선도는 역 위치와 이동 방향, 지자체 경계 등 주요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급행·환승 등 표기체계도 호선별로 달라 이용객의 혼란을 초래해 왔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다국어 표기나 역번호도 부족해 관광객 편의 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국제표준인 8선형을 적용해 읽기 쉬워진 '개선 노선도' /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시각·색채·정보디자인 분야 전문가의 자문과 검토를 거쳐 새로운 표준 디자인을 마련했다.
신형 단일노선도는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안전문 부착형)의 세 가지 형태로 제작되며, 서울교통공사와 협의해 하반기부터 전동차와 승강장 등에 순차적으로 부착될 예정이다.
새 노선도에는 색각 이상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개선된 색상체계가 적용됐고, 환승 노선은 신호등 방식으로 표기해 시인성을 높였다. 역 번호와 다국어 병기 등 외국인 이용 편의도 강화됐다.
위치 이해도 높이는 지리 정보(강, 바다) 표기 / 서울시 제공
와 환승역 표기 개선 / 서울시 제공
서울과 인접 자치구의 경계, 한강과 주요 분기점 등도 함께 표기돼 지리적 이해도를 높였다.
서울시는 이 외에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서울시청, DDP, 남산서울타워 등의 명소를 픽토그램으로 표현한 아이콘 14종을 개발해 노선도에 반영하고, 이를 활용한 기념 굿즈도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여의도역에는 세계 최초로 지하철 승강장 안전문에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신형 노선도를 영상으로도 제공한다. LG디스플레이의 55인치 OLED 패널 32대를 활용해 노선 정보뿐 아니라 운행 방향, 비상 안내까지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새롭게 발표한 노선도는 시각약자, 외국인 모두를 배려한 읽기 쉬운 디자인"이라며 "지하철을 더욱 편하게 이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