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내년 의대 정원 오후 1시 발표
의대 증원 전 수준 ’3천58명’으로 확정 발표할 듯
한덕수 권한대행·교육·복지부, 정원 동결 공감대
의대 총장단 "2026년 정원 3천58명 교육부에 건의"
의대 증원 전 수준 ’3천58명’으로 확정 발표할 듯
한덕수 권한대행·교육·복지부, 정원 동결 공감대
의대 총장단 "2026년 정원 3천58명 교육부에 건의"
AD
[앵커]
정부가 오늘,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정원을 늘리기 전 수준인 3천58명이 유력한데,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는 의대생들의 '버티기 전략'에 정부가 또 백기를 든 게 아니냔 비판이 나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백종규 기자!
정부의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 발표, 오늘 오후로 예정돼 있죠?
[기자]
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오늘 오후 1시에 정부서울청사에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 부총리는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해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 그리고 복지부 관계자가 비공개 회의를 열어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의과대학이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은 어제 화상 회의를 열고,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달라고, 교육부에 건의했습니다.
정부 발표는 의대 총장단의 건의를 수용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가 오늘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 발표하면,
각 대학은 이번 달 말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이를 반영한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사항을 제출하게 됩니다.
[앵커]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전원 복귀'를 정원 동결 조건으로 내걸었던 정부가 한발 후퇴한 것으로 봐야 할까요?
[기자
애초 정부는 지난달 7일, 3월 말까지 의대생이 학교로 전부 돌아오면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 수준으로 되돌리겠다고 했습니다.
학교 측의 제적 압박에 전국 의대에선 복학 행렬이 이어졌지만,
대다수 의대생은 여전히 수업 거부 투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전국 의대생의 수업 복귀율은 30%를 밑도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그럼에도, 이번 학기마저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의대 교육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전원 복귀 조건과 무관하게 먼저 정원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의대생 복귀를 위해 이제 추가로 내놓을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5,058명을 고집할 경우, 자칫 돌아온 학생들까지 이탈할 수 있단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부가 또 한 번 한발 물러선 모양새인데, 의대생들의 버티기 전략이 이번에도 통했단 우려 섞인 비판도 나옵니다.
의대생에게만 지나친 특혜를 제공한다는 형평성 논란 역시 제기됩니다.
다만, 이 같은 결정에도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의료계에선 모집 인원 감축 주장까지 나오고 있어 당장 의대 교육이 정상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가 오늘,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정원을 늘리기 전 수준인 3천58명이 유력한데,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는 의대생들의 '버티기 전략'에 정부가 또 백기를 든 게 아니냔 비판이 나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백종규 기자!
정부의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 발표, 오늘 오후로 예정돼 있죠?
[기자]
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오늘 오후 1시에 정부서울청사에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 부총리는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해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교육, 그리고 복지부 관계자가 비공개 회의를 열어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의과대학이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은 어제 화상 회의를 열고,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달라고, 교육부에 건의했습니다.
정부 발표는 의대 총장단의 건의를 수용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가 오늘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확정 발표하면,
각 대학은 이번 달 말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이를 반영한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사항을 제출하게 됩니다.
[앵커]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전원 복귀'를 정원 동결 조건으로 내걸었던 정부가 한발 후퇴한 것으로 봐야 할까요?
[기자
애초 정부는 지난달 7일, 3월 말까지 의대생이 학교로 전부 돌아오면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 수준으로 되돌리겠다고 했습니다.
학교 측의 제적 압박에 전국 의대에선 복학 행렬이 이어졌지만,
대다수 의대생은 여전히 수업 거부 투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전국 의대생의 수업 복귀율은 30%를 밑도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그럼에도, 이번 학기마저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의대 교육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전원 복귀 조건과 무관하게 먼저 정원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의대생 복귀를 위해 이제 추가로 내놓을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5,058명을 고집할 경우, 자칫 돌아온 학생들까지 이탈할 수 있단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부가 또 한 번 한발 물러선 모양새인데, 의대생들의 버티기 전략이 이번에도 통했단 우려 섞인 비판도 나옵니다.
의대생에게만 지나친 특혜를 제공한다는 형평성 논란 역시 제기됩니다.
다만, 이 같은 결정에도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의료계에선 모집 인원 감축 주장까지 나오고 있어 당장 의대 교육이 정상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