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이전인 2024학년도 수준으로 회귀
의대생 수업참여,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 인정
의대생, ’등록 후 투쟁’ 방침에 실질 복귀율 25.9%
"수업 불참 시,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학사운영"
의대생 수업참여,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 인정
의대생, ’등록 후 투쟁’ 방침에 실질 복귀율 25.9%
"수업 불참 시,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학사운영"
AD
[앵커]
정부가 오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의대 증원 정책이 나온 지 1년여 만에 원점으로 되돌아온 것인데, 이제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 관건입니다.
정부는 지난해와 같은 학사 유연화는 없다며 이제 더는 물러설 곳이 없음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백종규 기자!
조금 전에 있었던 내년도 의대 정원 관련 정부 발표 내용 자세하게 전해주시죠.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조금 전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이후 1년여 만에 다시 증원 전 정원과 같은 수준으로 되돌린 겁니다.
앞서 의과대학이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은 어제 교육부에 건의문을 냈는데요.
학생 복귀가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 달라는 내용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늘 발표를 총장들의 건의를 수용하는 형태로 진행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의대생 수업 참여가 의대 총장들과 학장단이 제시한 수준에 못 미친다는 점도 인정했습니다.
실제로 의대생들은 이번 달 초까지 전원이 등록과 복학을 완료했지만,
'등록 후 투쟁' 방침을 밝히고 수업 거부에 나서면서, 실질 복귀율은 25.9%에 그쳤습니다.
정부는 의대생 복귀를 위해 이제 추가로 내놓을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5,058명을 고집할 경우, 자칫 돌아온 학생들까지 이탈할 수 있단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부는 앞으로도 학생들이 수업에 불참한다면 유급을 적용하는 등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학사운영을 할 것이라는 점을 거듭 밝혔습니다.
[앵커]
정부 발표에 의대생들이 얼마나 호응하는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지금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이전 수준으로 되돌린 건 더는 의대 교육 파행을 그대로 둘 수 없다는 위기감 때문입니다.
또 이번 학기마저 학생 복귀가 이뤄지지 않으면 앞으로의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겁니다.
만약 집단휴학 사태가 1년 더 이어진다면 내년에는 24, 25, 26학번 등 3개 학번 학생 만여 명이
동시에 1학년 수업을 받는 '트리플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단 우려도 반영됐습니다.
정부의 이번 결정에 대학가에선 비판과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의대생에게만 계속 예외를 인정해주느냐며 특혜 시비가 일고 있는 것은 물론, 또 의대생들의 버티기 전략에 정부가 또 백기를 들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관건은 의대생들이 얼마나 호응을 하느냐입니다.
다만 의대생들 의견은 엇갈립니다.
이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는 반면, 강경파 의대생들은 이번 기회에 원하는 바를 확실히 얻어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일단 정부가 한발 물러나 의료계 주장을 받아들이면서 긴장 상태가 다소 완화할 가능성은 있지만,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이에 정부는 학생들 복귀가 더 늦어지면 24, 25학번 분리교육은 어렵고, 여기에 내년 26학번까지 더해지는 트리플링 현상이 발생한다면, 돌아오고 싶어도 돌아올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이번이 학생들이 돌아올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가 오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의대 증원 정책이 나온 지 1년여 만에 원점으로 되돌아온 것인데, 이제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 관건입니다.
정부는 지난해와 같은 학사 유연화는 없다며 이제 더는 물러설 곳이 없음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백종규 기자!
조금 전에 있었던 내년도 의대 정원 관련 정부 발표 내용 자세하게 전해주시죠.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조금 전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이후 1년여 만에 다시 증원 전 정원과 같은 수준으로 되돌린 겁니다.
앞서 의과대학이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은 어제 교육부에 건의문을 냈는데요.
학생 복귀가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 달라는 내용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늘 발표를 총장들의 건의를 수용하는 형태로 진행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의대생 수업 참여가 의대 총장들과 학장단이 제시한 수준에 못 미친다는 점도 인정했습니다.
실제로 의대생들은 이번 달 초까지 전원이 등록과 복학을 완료했지만,
'등록 후 투쟁' 방침을 밝히고 수업 거부에 나서면서, 실질 복귀율은 25.9%에 그쳤습니다.
정부는 의대생 복귀를 위해 이제 추가로 내놓을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5,058명을 고집할 경우, 자칫 돌아온 학생들까지 이탈할 수 있단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부는 앞으로도 학생들이 수업에 불참한다면 유급을 적용하는 등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학사운영을 할 것이라는 점을 거듭 밝혔습니다.
[앵커]
정부 발표에 의대생들이 얼마나 호응하는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지금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이전 수준으로 되돌린 건 더는 의대 교육 파행을 그대로 둘 수 없다는 위기감 때문입니다.
또 이번 학기마저 학생 복귀가 이뤄지지 않으면 앞으로의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겁니다.
만약 집단휴학 사태가 1년 더 이어진다면 내년에는 24, 25, 26학번 등 3개 학번 학생 만여 명이
동시에 1학년 수업을 받는 '트리플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단 우려도 반영됐습니다.
정부의 이번 결정에 대학가에선 비판과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의대생에게만 계속 예외를 인정해주느냐며 특혜 시비가 일고 있는 것은 물론, 또 의대생들의 버티기 전략에 정부가 또 백기를 들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관건은 의대생들이 얼마나 호응을 하느냐입니다.
다만 의대생들 의견은 엇갈립니다.
이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는 반면, 강경파 의대생들은 이번 기회에 원하는 바를 확실히 얻어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일단 정부가 한발 물러나 의료계 주장을 받아들이면서 긴장 상태가 다소 완화할 가능성은 있지만,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이에 정부는 학생들 복귀가 더 늦어지면 24, 25학번 분리교육은 어렵고, 여기에 내년 26학번까지 더해지는 트리플링 현상이 발생한다면, 돌아오고 싶어도 돌아올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이번이 학생들이 돌아올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