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 연합뉴스
AD
외식사업가이자 방송인 백종원이 방송 제작 현장에서 지나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유튜브 채널 '45플러스'에 공개된 영상 '백종원은 회생할 수 있을까? 백종원과 미디어가 서로를 이용하는 법'에서 MBC 교양국 출신 김재환 PD는 백종원의 방송 활동과 관련한 여러 의혹을 폭로했다.
김 PD의 주장에 따르면, 백종원은 MBC 예능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 출연을 기점으로 방송가 내 영향력을 급격히 키우기 시작했다.
김 PD는 "마리텔 이후 백종원이 이끄는 더본코리아의 매출이 다음 해 510억 원이나 급증했다"며 "가맹점들의 폐업에도 불구하고 방송 노출을 통해 신규 가맹점을 빠르게 확보하면서 기업은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백종원은 방송사로부터 고액의 출연료를 받는 '모셔가는' 인물이 되었고, 동시에 방송 제작 과정에 개입하기 시작했다고 김 PD는 주장했다.
김 PD는 "백종원이 방송사에 점점 무리한 요구를 시작했다"며 "프로그램에 '내가 지명하는 작가팀, 촬영팀을 넣으라'고 한다더라. PD는 미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프로그램 분위기는 PD와 촬영팀 호흡이 중요한데, 백종원이 데려온 촬영 팀이 백종원 대표 심기만 살피면 현장 권력은 백종원에게 쏠린다"고 말했다.
또 "회의 내용이 백종원 귀로 들어간다는 인식 때문에 제작진은 출연자에 대한 냉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심지어 "백종원의 마음에 들지 않는 출연자는 방송에서 하차당하기도 했다"며 "이에 대해 CP나 PD가 해당 출연자에게 직접 사과하는 일까지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PD는 백종원이 방송사 고위 관계자들과도 친분을 맺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제작진이 그가 방송사 사장과 형·동생 사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현장에서는 백종원의 요구가 그대로 관철됐다"고 전했다.
백종원이 방송 중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상황을 정리하던 일화를 예로 들며, 이러한 '탑다운(Top-Down)' 방식이 일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부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경우 '갑질'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한국경제에 따르면, 과거 백종원과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한 연출자는 김 PD가 언급한 의혹에 대해 "우리 프로그램에서는 전혀 그런 적이 없다"며 "어떻게 이렇게까지 나오냐"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백종원 대표는 전문 방송인들과 달리 아쉬울 게 없는 사람이고, 그게 방송에서 매력으로 드러났다"며 "직설적이고 강하게 피력하는 스타일은 맞지만 '갑질'을 문제 삼을 정도는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한 방송 관계자도 "자기가 하는 말을 잘 이해하고, 함께 일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지속해서 소통하려 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피하려고 하는 건 본능 아니냐"며 "다만 방송가에는 훗날을 생각해 그래도 참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백종원 대표는 방송을 꼭 해야 하는 사람이 아니니 티를 내는 스타일이긴 했다"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1일, 유튜브 채널 '45플러스'에 공개된 영상 '백종원은 회생할 수 있을까? 백종원과 미디어가 서로를 이용하는 법'에서 MBC 교양국 출신 김재환 PD는 백종원의 방송 활동과 관련한 여러 의혹을 폭로했다.
김 PD의 주장에 따르면, 백종원은 MBC 예능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 출연을 기점으로 방송가 내 영향력을 급격히 키우기 시작했다.
김 PD는 "마리텔 이후 백종원이 이끄는 더본코리아의 매출이 다음 해 510억 원이나 급증했다"며 "가맹점들의 폐업에도 불구하고 방송 노출을 통해 신규 가맹점을 빠르게 확보하면서 기업은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백종원은 방송사로부터 고액의 출연료를 받는 '모셔가는' 인물이 되었고, 동시에 방송 제작 과정에 개입하기 시작했다고 김 PD는 주장했다.
유튜브 채널 '45플러스' 캡처
김 PD는 "백종원이 방송사에 점점 무리한 요구를 시작했다"며 "프로그램에 '내가 지명하는 작가팀, 촬영팀을 넣으라'고 한다더라. PD는 미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프로그램 분위기는 PD와 촬영팀 호흡이 중요한데, 백종원이 데려온 촬영 팀이 백종원 대표 심기만 살피면 현장 권력은 백종원에게 쏠린다"고 말했다.
또 "회의 내용이 백종원 귀로 들어간다는 인식 때문에 제작진은 출연자에 대한 냉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심지어 "백종원의 마음에 들지 않는 출연자는 방송에서 하차당하기도 했다"며 "이에 대해 CP나 PD가 해당 출연자에게 직접 사과하는 일까지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PD는 백종원이 방송사 고위 관계자들과도 친분을 맺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제작진이 그가 방송사 사장과 형·동생 사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현장에서는 백종원의 요구가 그대로 관철됐다"고 전했다.
백종원이 방송 중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상황을 정리하던 일화를 예로 들며, 이러한 '탑다운(Top-Down)' 방식이 일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부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경우 '갑질'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한국경제에 따르면, 과거 백종원과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한 연출자는 김 PD가 언급한 의혹에 대해 "우리 프로그램에서는 전혀 그런 적이 없다"며 "어떻게 이렇게까지 나오냐"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백종원 대표는 전문 방송인들과 달리 아쉬울 게 없는 사람이고, 그게 방송에서 매력으로 드러났다"며 "직설적이고 강하게 피력하는 스타일은 맞지만 '갑질'을 문제 삼을 정도는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한 방송 관계자도 "자기가 하는 말을 잘 이해하고, 함께 일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지속해서 소통하려 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피하려고 하는 건 본능 아니냐"며 "다만 방송가에는 훗날을 생각해 그래도 참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백종원 대표는 방송을 꼭 해야 하는 사람이 아니니 티를 내는 스타일이긴 했다"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