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사교육 열풍…’강남키즈’ 정신건강 ’빨간불’
서울에만 영유아 대상 ’영어유치원’ 240곳에 달해
’강남 키즈’ 과도한 학습 스트레스…우려가 현실로
서울에만 영유아 대상 ’영어유치원’ 240곳에 달해
’강남 키즈’ 과도한 학습 스트레스…우려가 현실로
AD
[앵커]
영어유치원에 들어가기 위한 '4세 고시' 초등 의대반을 위한 '7세 고시'등 요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경쟁의 한복판에 내몰립니다.
아이들의 정서 발달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많은데, 실제로 서울 강남 3구 아이들의 경우, 우울과 불안 등 정신건강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앵커]
서울에 있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 이른바 영어유치원은 지난해 기준 240곳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강남 3구, 그러니까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에 위치한 영어유치원은 59곳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합니다.
강남 3구를 '영유아 사교육의 중심지'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4세 고시', '7세 고시' 등 영유아 사교육 시장 과열 속 '강남 키즈'들이 과도한 학습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있다는 우려가 컸는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강남 3구에 거주하는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과 불안장애 건강보험료 청구 건수가 최근 5년 동안 3배가량 늘어난 겁니다.
특히 지난해 청구 건수를 보면 송파구가 1,442건, 강남구가 1,045건, 서초구가 822건으로 집계됐는데,
강남 3구의 구별 평균 청구 건수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평균의 3.8배에 달했습니다.
물론 진료 건수 자체가 많다는 의견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조기 학습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습니다.
강남 3구보다는 덜하지만 전국적으로도 봐도 우울, 불안 등으로 인한 9세 이하 어린이의 건강보험 청구 건수는 5년 만에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사교육 입문 나이가 점점 어려지고, 공부의 강도가 세지는 탓에 이른바 '4세 고시 방지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까지 나왔습니다.
[백병환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팀장 : 사교육에서 일어나는 아이들에 대한 과도한 인지 교육의 제한을 두자, 일정 시간 이상 넘치지 못하도록 그렇게 규제하는 법을 만들자, 그런 취지에서 제안을 한 것입니다.]
최근에는 인권위원회에 영유아 사교육을 '아동학대'로 규정해달라는 진정까지 제기됐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사교육비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교육 당국이 내놓은 대책은 고액 교육비와 편법 운영 단속뿐입니다.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영어유치원에 들어가기 위한 '4세 고시' 초등 의대반을 위한 '7세 고시'등 요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경쟁의 한복판에 내몰립니다.
아이들의 정서 발달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많은데, 실제로 서울 강남 3구 아이들의 경우, 우울과 불안 등 정신건강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앵커]
서울에 있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 이른바 영어유치원은 지난해 기준 240곳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강남 3구, 그러니까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에 위치한 영어유치원은 59곳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합니다.
강남 3구를 '영유아 사교육의 중심지'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4세 고시', '7세 고시' 등 영유아 사교육 시장 과열 속 '강남 키즈'들이 과도한 학습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있다는 우려가 컸는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강남 3구에 거주하는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과 불안장애 건강보험료 청구 건수가 최근 5년 동안 3배가량 늘어난 겁니다.
특히 지난해 청구 건수를 보면 송파구가 1,442건, 강남구가 1,045건, 서초구가 822건으로 집계됐는데,
강남 3구의 구별 평균 청구 건수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평균의 3.8배에 달했습니다.
물론 진료 건수 자체가 많다는 의견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조기 학습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습니다.
강남 3구보다는 덜하지만 전국적으로도 봐도 우울, 불안 등으로 인한 9세 이하 어린이의 건강보험 청구 건수는 5년 만에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사교육 입문 나이가 점점 어려지고, 공부의 강도가 세지는 탓에 이른바 '4세 고시 방지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까지 나왔습니다.
[백병환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팀장 : 사교육에서 일어나는 아이들에 대한 과도한 인지 교육의 제한을 두자, 일정 시간 이상 넘치지 못하도록 그렇게 규제하는 법을 만들자, 그런 취지에서 제안을 한 것입니다.]
최근에는 인권위원회에 영유아 사교육을 '아동학대'로 규정해달라는 진정까지 제기됐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사교육비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교육 당국이 내놓은 대책은 고액 교육비와 편법 운영 단속뿐입니다.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