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정부가 의대 증원 정책을 사실상 철회했지만, 의대생과 전공의 대다수는 제 자리에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의대생 세 학번이 동시 교육을 받아야 하는 '트리플링' 우려가 커지는 등 차기 정부는 시작부터 난수표를 받아들 것으로 보입니다.
권민석 기자입니다.
[기자]
5년간 2천 명씩 의사 만 명을 늘리겠단 의대 증원 정책은 윤석열 정부 의료 개혁의 신호탄이었습니다.
[조규홍 / 보건복지부 장관 (지난해 2월 6일) :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증원하여 현재 3,058명에서 5,058명으로 확대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희귀 질환 중심으로 재편하고, 지역 2차 병원을 지원하는 등 일부 결과물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왜 꼭 2천 명이어야 했는지 설명하지 못한 후과는 컸습니다.
전국 수련병원 211곳에서 전공의가 떠나면서 '응급실 뺑뺑이'가 속출했고,
40개 의대 학생들마저 집단 휴학에 돌입해 새내기 의사 배출 절벽이 현실화했습니다.
결국, 1년 만에 의대 증원을 사실상 철회하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의대생들이 대량 유급당할 경우,
24, 25, 26학번이 한꺼번에 수업을 들어야 해 의학 교육이 뿌리부터 흔들릴 수 있습니다.
수련을 재개한 전공의는 12.4%에 불과하고, 이미 59%는 의료기관에 재취업해 일하고 있습니다.
또, 하반기 전공의 모집은 서너 달 뒤에 이뤄져 당장 이들을 복귀시킬 방법 역시 마땅치 않습니다.
[김택우 / 대한의사협회장 (지난 20일) : 우리 후배들은 여전히 어두운 길목에 서 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되뇌고 있습니다. 돌아갈 명분이 없다고.]
대선 주자들이 '공공의대 설립 공약'을 발표하거나 의협을 방문해 의정 갈등 해결 의지를 다지고 있지만,
불신의 골이 깊은 의료계는 번번이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차기 정부는 집권 초부터 수세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영상편집 : 최연호
디자인 : 임샛별
YTN 권민석 (minseok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가 의대 증원 정책을 사실상 철회했지만, 의대생과 전공의 대다수는 제 자리에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의대생 세 학번이 동시 교육을 받아야 하는 '트리플링' 우려가 커지는 등 차기 정부는 시작부터 난수표를 받아들 것으로 보입니다.
권민석 기자입니다.
[기자]
5년간 2천 명씩 의사 만 명을 늘리겠단 의대 증원 정책은 윤석열 정부 의료 개혁의 신호탄이었습니다.
[조규홍 / 보건복지부 장관 (지난해 2월 6일) :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증원하여 현재 3,058명에서 5,058명으로 확대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희귀 질환 중심으로 재편하고, 지역 2차 병원을 지원하는 등 일부 결과물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왜 꼭 2천 명이어야 했는지 설명하지 못한 후과는 컸습니다.
전국 수련병원 211곳에서 전공의가 떠나면서 '응급실 뺑뺑이'가 속출했고,
40개 의대 학생들마저 집단 휴학에 돌입해 새내기 의사 배출 절벽이 현실화했습니다.
결국, 1년 만에 의대 증원을 사실상 철회하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의대생들이 대량 유급당할 경우,
24, 25, 26학번이 한꺼번에 수업을 들어야 해 의학 교육이 뿌리부터 흔들릴 수 있습니다.
수련을 재개한 전공의는 12.4%에 불과하고, 이미 59%는 의료기관에 재취업해 일하고 있습니다.
또, 하반기 전공의 모집은 서너 달 뒤에 이뤄져 당장 이들을 복귀시킬 방법 역시 마땅치 않습니다.
[김택우 / 대한의사협회장 (지난 20일) : 우리 후배들은 여전히 어두운 길목에 서 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되뇌고 있습니다. 돌아갈 명분이 없다고.]
대선 주자들이 '공공의대 설립 공약'을 발표하거나 의협을 방문해 의정 갈등 해결 의지를 다지고 있지만,
불신의 골이 깊은 의료계는 번번이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차기 정부는 집권 초부터 수세에서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영상편집 : 최연호
디자인 : 임샛별
YTN 권민석 (minseok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