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일본에서 '아베 정권의 나팔수'라는 지적을 받고 있는 산케이신문이 한국 언론이 '기레기'로 불린다며 싸잡아 폄하하는 시리즈 기사를 게재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극우 보수 성향의 산케이는 16일 '기레기로 불리는 한국 미디어 연구'를 주제로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취재기자에 광고 할당'이라는 제목의 첫 기사로 한국 신문업계를 비판했습니다.
이 신문은 시리즈 주제 중 '기레기'를 한글로도 표기하면서 언론을 야유하는 표현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산케이는 우선 작년 말 경향신문이 특정 기업과 관련한 기사를 내보내려 했다가 해당 기업이 약속한 협찬을 대가로 사장이 지시해 제작과정에 있던 해당 기사를 삭제한 사건을 문제 삼았습니다.
산케이는 "한국의 대형 미디어는 상당수 이런 문제를 묵살하고 있다"며 경향신문 사태에서 드러난 문제가 한국 언론 업계 전체의 관행인 것처럼 보도했습니다.
아울러 판매 부수 기준으로 종합일간지 상위 10위 이내인 한 중견 신문사를 예로 들면서 취재기자가 소속된 편집국이 영업이나 판매로부터 분리돼 권력과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보도해야 하는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현장 기자가 중개하는 자금 모집의 일환으로 한국 신문사가 '시상식'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했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 등의 기획을 신문사가 주최해 수상자가 상금을 받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기사를 게재하는 대가로 신문사가 '수상료'를 받는 구조라고 산케이는 지적했습니다.
산케이신문은 이번 시리즈에 대해 일본과 공통의 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 언론의 현재를 보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아베 정권과 가까워 살아있는 권력을 거의 비판하지 않는 산케이신문이 '기레기'라는 표현까지 쓰면 한국 언론 전체를 비판할 자격이 있느냐는 지적이 일본 언론 내에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극우 보수 성향의 산케이는 16일 '기레기로 불리는 한국 미디어 연구'를 주제로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취재기자에 광고 할당'이라는 제목의 첫 기사로 한국 신문업계를 비판했습니다.
이 신문은 시리즈 주제 중 '기레기'를 한글로도 표기하면서 언론을 야유하는 표현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산케이는 우선 작년 말 경향신문이 특정 기업과 관련한 기사를 내보내려 했다가 해당 기업이 약속한 협찬을 대가로 사장이 지시해 제작과정에 있던 해당 기사를 삭제한 사건을 문제 삼았습니다.
산케이는 "한국의 대형 미디어는 상당수 이런 문제를 묵살하고 있다"며 경향신문 사태에서 드러난 문제가 한국 언론 업계 전체의 관행인 것처럼 보도했습니다.
아울러 판매 부수 기준으로 종합일간지 상위 10위 이내인 한 중견 신문사를 예로 들면서 취재기자가 소속된 편집국이 영업이나 판매로부터 분리돼 권력과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보도해야 하는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현장 기자가 중개하는 자금 모집의 일환으로 한국 신문사가 '시상식'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했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 등의 기획을 신문사가 주최해 수상자가 상금을 받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기사를 게재하는 대가로 신문사가 '수상료'를 받는 구조라고 산케이는 지적했습니다.
산케이신문은 이번 시리즈에 대해 일본과 공통의 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 언론의 현재를 보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아베 정권과 가까워 살아있는 권력을 거의 비판하지 않는 산케이신문이 '기레기'라는 표현까지 쓰면 한국 언론 전체를 비판할 자격이 있느냐는 지적이 일본 언론 내에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