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 회고록' 추가 폭로..."트럼프, '북 제재 완화' 열려 있다"

'볼턴 회고록' 추가 폭로..."트럼프, '북 제재 완화' 열려 있다"

2020.06.20. 오후 10: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볼턴 전 보좌관 회고록 추가 폭로…美 정가 흔들
"김정은, 유엔제재 해제 곧 가능한가?"
"트럼프, 열려 있다. 그에 관해 생각해보길 원해"
AD
[앵커]
오는 23일 출간 예정인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 내용이 연일 미 정가와 세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 요약본을 봤다는 미국의 한 전략연구소 연구원은 싱가포르 정상회담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UN 제재 완화' 가능성을 제시해 지나친 기대감을 줬다고 지적했습니다.

박철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수미 테리 선임연구원은 볼턴 전 보좌관 회고록 요약본을 봤다며 2018년 6월 이후 3차례의 북미정상회담 뒷이야기를 자신의 트윗에 공개했습니다.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말미에 있었던 일로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회담장을 떠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나눈 대화 내용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김 위원장은 "자신과 트럼프 대통령이 '행동 대 행동' 접근법을 따르기로 합의해서 기쁘다"고 말하면서 'UN제재 해제가 다음 순서가 될 수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열려있다'면서 '그에 관해 생각해보기를 원한다'는 취지로 답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행동 대 행동'이란 말은 북한이 요구해온 단계적 접근법을 말하는 것으로, 미국 공식입장과 거리가 있는 데도 트럼프 대통령이 긍정 신호를 줬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은 낙관적인 기대감을 안고 회담장을 떠난 것으로 전해졌고, 결과적으로 북한에 지나친 기대감을 갖게 한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이고도 독단적인 대응은 또 있습니다.

평소 한미연합훈련이 '돈 낭비'라고 봤던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축소 또는 폐지" 요청에 "그렇게 하겠다"고 덜컥 동의해 준 일을 꼽고 있습니다.

당시 배석했던 폼페이오 국무장관, 볼턴 전 보좌관은 물론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 심지어 훈련 당사국인 한국 정부 등 어느 누구와도 상의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이 밖에도 지난해 2월 하노이 회담 때 있었던 일도 트럼프 대통령의 독단적 결정 사례 중 하나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당시 빅딜과 스몰딜, 그리고 '협상장 밖으로 걸어나가기' 등 3가지 선택지가 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을 깨고 밖으로 나가기를 선택했던 이유는 충격적일 정도입니다.

자신의 옛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의 청문회 때문에 짜증이 난 트럼프 대통령은 오로지 '보다 극적'인 상황 연출에만 관심을 가졌었다는 내용이 폭로됐기 때문입니다.

YTN 박철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