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틱톡 인수협상' 돌입...트럼프, 45일 협상시한 통보

MS, '틱톡 인수협상' 돌입...트럼프, 45일 협상시한 통보

2020.08.03. 오후 6:5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사가 중국의 모바일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협상을 공식화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5일의 협상 시한'을 정해 통보한 것으로 전해져 인수협상에 동의하는 듯한 태도로 돌아섰습니다.

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사는 성명을 통해 "나델라 최고경영자와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를 나눴다"면서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를 위한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회사는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안보 심사를 완전하게 받고 미국에 적절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와 신속하게 협상을 진행해 어떤 경우에도 9월 15일 이전에 마무리 짓겠으며 그 과정에서 미국 정부와 대통령과도 조율을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틱톡의 미국 사업 외에도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 내 사업 인수와 미국 내 다른 투자자들의 참여 가능성도 열어놓았습니다.

또 세계적인 수준의 보안과 프라이버시, 디지털 안전 보호 기능도 추가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인수와 관련해 45일의 시한을 지정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틱톡의 미국 내 사용금지 조치를 9월 15일까지 늦추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앞서 미국 내 틱톡 사용을 당장 이달부터 금지할 수 있다고 강경 입장을 밝혔던 트럼프 대통령은 다소 물러선 모양새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달 31일) : 틱톡을 보고 있는데 금지할 수도 있고 다른 조치도 내릴 수 있습니다. 몇 개의 선택이 있지만 많은 일이 있으니 두고 봅시다.]

바이트댄스는 성명을 내고 "우리는 엄격하게 현지의 법률을 준수한다"면서 "법이 부여한 권리를 적극 이용해 회사의 권익을 지켜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틱톡이 실제로 차단되거나 진행 중인 매각협상에 제동이 걸린다면 미국을 상대로 법적 절차에 나설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YTN 김태현[kimt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