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오늘 새벽 G7 확대정상회의 현장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총리의 첫 만남이 이뤄졌습니다.
양국 정상의 첫 대면에 대한 일본 측 반응은 어떤지 알아봅니다. 이경아 특파원!
일본 정부가 이번 만남에 대해 어떻게 설명했습니까?
[기자]
네, 스가 총리를 수행하고 있는 오카다 관방부장관은 취재진에게 "한국 문재인 대통령이 스가 총리에게 다가와 짧은 시간 인사를 나눈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NHK 등 일본 언론들은 부장관의 말을 인용해 한국과 일본 두 정상의 첫 대면 접촉이 이뤄진 소식을 잇따라 전했습니다.
지난해 9월 취임한 스가 총리는 문 대통령과 통화를 한 뒤 화상 회의에서 만난 적은 있지만 직접 얼굴을 맞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남은 G7 정상회의 기간 두 정상 간에 좀 더 심도 있는 대화가 이뤄질 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모테기 일본 외무성 장관은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서로의 사정 등을 고려해 어떤 양자 회담을 넣을지는 앞으로 조율해 가는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한일 정상 뿐 아니라 한미일 정상 간의 만남에 대해서도 한국과 미국은 공식 또는 비공식 대화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밝힌 반면 일본은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습니다.
일본은 영국과 프랑스 뿐 아니라 미국과도 별도의 정상회담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스가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은 공식 회담은 갖지 못하고 회의를 전후해 약 10분 정도 현안을 협의하는데 그쳤습니다.
다자 외교 무대인 만큼 현장 상황이나 일정 등에 유동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앵커]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해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비판이 일본 안에서도 있지 않습니까?
두 정상의 첫 대면 이후 한일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기자]
일본 측은 그동안 강제동원과 위안부 문제 등 양국 현안에 대해 한국이 해결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하며 대화 요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왔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양국 정상이 어떤 형태로 마주하게 될 지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아사히신문은 악화한 한일 관계 속에 스가 총리와 모테기 외무성 장관이 새로 부임한 강창일 주일대사를 만나지 않는 등 일본 정부 대응을"치졸하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일본 내 주요 언론들도 한국에 해법을 가져오라고만 할 것이 아니고 일본 정부도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을 잇따라 내놓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관계 개선 의지는 이미 수 차례 일본 측에 전달됐습니다.
지난해 11월과 지난달 박지원 국정원장이 일본을 방문해 스가 총리를 두 차례 만나면서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문 대통령의 뜻을 전했는데요.
양국 외교 당국 간의 국장급 실무 협의도 지난 4월 이뤄졌지만 입장 차이를 확인하는데 그친 상탭니다.
일본 측은 최근 위안부와 강제동원 판결이 종전 판례를 뒤집고 일본 정부와 기업의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결론 난 것에 일단 안도하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코로나와 올림픽, 그리고 그 뒤에 이어질 중의원 선거 등 산적한 현안 속에 한일 현안은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우선 순위에 있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이 때문에 최악의 갈등 상황은 피했다 하더라도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의 대화 의지에 화답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YTN 이경압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 새벽 G7 확대정상회의 현장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총리의 첫 만남이 이뤄졌습니다.
양국 정상의 첫 대면에 대한 일본 측 반응은 어떤지 알아봅니다. 이경아 특파원!
일본 정부가 이번 만남에 대해 어떻게 설명했습니까?
[기자]
네, 스가 총리를 수행하고 있는 오카다 관방부장관은 취재진에게 "한국 문재인 대통령이 스가 총리에게 다가와 짧은 시간 인사를 나눈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NHK 등 일본 언론들은 부장관의 말을 인용해 한국과 일본 두 정상의 첫 대면 접촉이 이뤄진 소식을 잇따라 전했습니다.
지난해 9월 취임한 스가 총리는 문 대통령과 통화를 한 뒤 화상 회의에서 만난 적은 있지만 직접 얼굴을 맞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남은 G7 정상회의 기간 두 정상 간에 좀 더 심도 있는 대화가 이뤄질 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모테기 일본 외무성 장관은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서로의 사정 등을 고려해 어떤 양자 회담을 넣을지는 앞으로 조율해 가는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한일 정상 뿐 아니라 한미일 정상 간의 만남에 대해서도 한국과 미국은 공식 또는 비공식 대화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밝힌 반면 일본은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습니다.
일본은 영국과 프랑스 뿐 아니라 미국과도 별도의 정상회담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스가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은 공식 회담은 갖지 못하고 회의를 전후해 약 10분 정도 현안을 협의하는데 그쳤습니다.
다자 외교 무대인 만큼 현장 상황이나 일정 등에 유동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앵커]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해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비판이 일본 안에서도 있지 않습니까?
두 정상의 첫 대면 이후 한일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기자]
일본 측은 그동안 강제동원과 위안부 문제 등 양국 현안에 대해 한국이 해결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하며 대화 요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왔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양국 정상이 어떤 형태로 마주하게 될 지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아사히신문은 악화한 한일 관계 속에 스가 총리와 모테기 외무성 장관이 새로 부임한 강창일 주일대사를 만나지 않는 등 일본 정부 대응을"치졸하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일본 내 주요 언론들도 한국에 해법을 가져오라고만 할 것이 아니고 일본 정부도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을 잇따라 내놓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관계 개선 의지는 이미 수 차례 일본 측에 전달됐습니다.
지난해 11월과 지난달 박지원 국정원장이 일본을 방문해 스가 총리를 두 차례 만나면서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문 대통령의 뜻을 전했는데요.
양국 외교 당국 간의 국장급 실무 협의도 지난 4월 이뤄졌지만 입장 차이를 확인하는데 그친 상탭니다.
일본 측은 최근 위안부와 강제동원 판결이 종전 판례를 뒤집고 일본 정부와 기업의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결론 난 것에 일단 안도하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코로나와 올림픽, 그리고 그 뒤에 이어질 중의원 선거 등 산적한 현안 속에 한일 현안은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우선 순위에 있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이 때문에 최악의 갈등 상황은 피했다 하더라도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의 대화 의지에 화답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YTN 이경압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