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 출처=내셔널 웨스트민스터(NatWest)
AD
영국의 내셔널 웨스트민스터(NatWest) 은행이 남성도 여성도 아닌 비(非) 이분법적 성 정체성을 가진 직원들을 위해 원할 때마다 남녀 정체성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는 '양면 사원증'을 도입했다.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웨스트민스터 은행은 지난해부터 양면 사원증을 제공해 왔다. 해당 사원증의 친환경 대나무 배지에 자신이 선호하는 이름의 철자도 표시할 수 있게 했다.
웨스트민스터 은행은 홈페이지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코너에 "우리는 이분법적 성별에 속하지 않는 동료들이 남성·여성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양면 사원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또 은행 측은 트랜스젠더 고객이 미스터(Mr)나 미시즈(Mrs), 미스(Miss)라는 호칭 대신 믹스(Mx)를 사용할 수 있도록 옵션도 추가했다. 기존 고객들이 계좌를 개설할 땐 성별 확인도 별도로 하지 않는다.
지난 2021년부터 DEI 위원회를 운영하며 다양한 조치들을 추진해 왔다.
다음 달부터 트랜스젠더 직원에게 호르몬 치료비를 지급하기로 했으며, 성전환 수술을 받은 직원들이 휴가를 쓸 수 있도록 병가 규정도 바꿨다.
또 사내 규정의 문구를 검토해 각종 표현이 성소수자를 차별하지 않는지도 살폈다.
이 외에도 3만 6,0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은 지난해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으로 '비 포용적 행동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기도 했다.
웨스트민스터 은행 그룹의 대변인은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과 관계없이 모든 동료와 고객을 환영하는 기업이 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동료·고객들과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웨스트민스터 은행은 지난해부터 양면 사원증을 제공해 왔다. 해당 사원증의 친환경 대나무 배지에 자신이 선호하는 이름의 철자도 표시할 수 있게 했다.
웨스트민스터 은행은 홈페이지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코너에 "우리는 이분법적 성별에 속하지 않는 동료들이 남성·여성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양면 사원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또 은행 측은 트랜스젠더 고객이 미스터(Mr)나 미시즈(Mrs), 미스(Miss)라는 호칭 대신 믹스(Mx)를 사용할 수 있도록 옵션도 추가했다. 기존 고객들이 계좌를 개설할 땐 성별 확인도 별도로 하지 않는다.
지난 2021년부터 DEI 위원회를 운영하며 다양한 조치들을 추진해 왔다.
다음 달부터 트랜스젠더 직원에게 호르몬 치료비를 지급하기로 했으며, 성전환 수술을 받은 직원들이 휴가를 쓸 수 있도록 병가 규정도 바꿨다.
또 사내 규정의 문구를 검토해 각종 표현이 성소수자를 차별하지 않는지도 살폈다.
이 외에도 3만 6,0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은 지난해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으로 '비 포용적 행동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기도 했다.
웨스트민스터 은행 그룹의 대변인은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과 관계없이 모든 동료와 고객을 환영하는 기업이 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동료·고객들과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