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YTN
AD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끔찍한 생체실험을 자행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 '731부대'의 조직 구성과 대원 명단을 담은 문서가 발견됐다고 17일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문서는 1940년 관동군이 조직 개편을 하며 작성된 것으로, 일본 국립공문서관이 후생노동성으로부터 넘겨받아 보관하고 있는 것을 메이지가쿠인대학 국제평화연구소 마쓰노 세이야 연구원이 발견했다.
표지에 1940년 9월 30일 작성된 것으로 쓰여 있는 이 문서에는 부대 구성과 대원들의 이름, 계급 등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돼 있다. 특히 당시 부대장이었던 이시이 시로를 비롯한 97명의 장교 명단이 기재됐으며 군의관 이외에 대학 의대에서 파견된 의학자들도 '기사'(技師)라는 직함으로 나열돼있다.
문서를 발견한 마쓰노 연구원은 "731부대원의 이름, 계급 등이 명시된 구 일본군 작성 자료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 아닌가"라며 "누가 어떤 식으로 부대에 관여했고 전후 어떻게 살았는지 밝힐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731부대는 세균전을 위해 1936년 설립된 일본 관동군 산하 부대로, 이곳으로 끌려온 한국인·중국인·러시아인 등 전쟁 포로들은 '마루타'(통나무)라 불렸다. 이들은 산 채로 해부 당하거나 세균 감염, 동상 실험 등에 동원돼 잔인하게 희생됐다.
하얼빈시가 확보한 명단에 따르면 최소한 3,000여 명의 포로들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실체는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 일본이 패전 직후 자신들이 저지른 만행의 흔적을 없애기 위해 살아남은 전쟁 포로 150여 명을 처형하고, 관련 자료들을 대거 소각했기 때문. 명단이 인멸된 탓에 만행을 저지르고도 병원이나 제약회사에 취업하는 일도 다반사였다고 매체는 전했다.
교도통신은 "정부 자료가 더 있을 것"이라며 "일본 정부는 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은 것으로 알려진 자료를 비롯해 적극적인 규명으로 실태를 밝힐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YTN digital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보도에 따르면 이 문서는 1940년 관동군이 조직 개편을 하며 작성된 것으로, 일본 국립공문서관이 후생노동성으로부터 넘겨받아 보관하고 있는 것을 메이지가쿠인대학 국제평화연구소 마쓰노 세이야 연구원이 발견했다.
표지에 1940년 9월 30일 작성된 것으로 쓰여 있는 이 문서에는 부대 구성과 대원들의 이름, 계급 등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돼 있다. 특히 당시 부대장이었던 이시이 시로를 비롯한 97명의 장교 명단이 기재됐으며 군의관 이외에 대학 의대에서 파견된 의학자들도 '기사'(技師)라는 직함으로 나열돼있다.
문서를 발견한 마쓰노 연구원은 "731부대원의 이름, 계급 등이 명시된 구 일본군 작성 자료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 아닌가"라며 "누가 어떤 식으로 부대에 관여했고 전후 어떻게 살았는지 밝힐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YTN
731부대는 세균전을 위해 1936년 설립된 일본 관동군 산하 부대로, 이곳으로 끌려온 한국인·중국인·러시아인 등 전쟁 포로들은 '마루타'(통나무)라 불렸다. 이들은 산 채로 해부 당하거나 세균 감염, 동상 실험 등에 동원돼 잔인하게 희생됐다.
하얼빈시가 확보한 명단에 따르면 최소한 3,000여 명의 포로들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실체는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 일본이 패전 직후 자신들이 저지른 만행의 흔적을 없애기 위해 살아남은 전쟁 포로 150여 명을 처형하고, 관련 자료들을 대거 소각했기 때문. 명단이 인멸된 탓에 만행을 저지르고도 병원이나 제약회사에 취업하는 일도 다반사였다고 매체는 전했다.
교도통신은 "정부 자료가 더 있을 것"이라며 "일본 정부는 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은 것으로 알려진 자료를 비롯해 적극적인 규명으로 실태를 밝힐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YTN digital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