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개 의학단체 "오메가3,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없다"

美 6개 의학단체 "오메가3,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없다"

2023.07.26. 오전 10:4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美 6개 의학단체 "오메가3,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없다"
출처 = 연합뉴스
AD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오메가3'가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가 거의 없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나 이와 상반되는 연구 결과도 있어 효능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3일(현지시각) 미국심장협회와 미국심장학회 등 6개 의학 단체는 최근 미국 심장병학대학 저널(JACC)에 '만성 관상동맥질환 환자 관리를 위한 임상실무지침위원회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생선 기름과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 등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이점이 부족하다"며 "만성 관상동맥질환 환자에게 권장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 2012년 이후 11년 만에 개정된 지침으로, 오메가3가 심혈관 질환에 큰 건강학적 이점이 없다는 것 입장을 분명히 하며 사실상 '사용 중단'을 권고한 셈이다.

참고로 관상동맥질환이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대표적이다.

다만 오메가3 중 아이코사펜트 에틸(EPA)은 관상동맥 질환이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20%가량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합동 위원회는 "연구마다 결과가 달라 정확하지 않다"면서 "오메가3 복용보다 당뇨병 치료나 생활방식 개선 등을 먼저 시도하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난 17일에는 오메가3가 심방이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심혈관질환인 심방세동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공중보건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오메가3 중 DPA와 DHA, EPA+DHA는 심방세동 발생 위험을 7~13%가량 감소시켰다.

오메가3가 심혈관이 아닌 폐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다. 미국 코넬대의 패트리셔 카사노 영양학 교수 연구팀은 혈중 오메가3 지방산 수치가 높을수록 폐 기능 저하 속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2019년 연구에서는 정제된 성분을 하루 4g 이상 고용량으로 쓸 때 심혈관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20년, 2021년 연구에서는 효과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기도 했다.

YTN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