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차량 절도는 현대차·기아 탓" NYT 기사 역풍

"미국 내 차량 절도는 현대차·기아 탓" NYT 기사 역풍

2023.09.05. 오후 5:0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미국 내 차량 절도는 현대차·기아 탓" NYT 기사 역풍
사진 출처=AFP/연합뉴스
AD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차량에 도난 방지 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사실상 자동차 절도 범죄 증가를 부추겼다'는 주장의 칼럼을 게시했다가 역풍을 맞고 있다.

3일(현지 시간) NYT 고정 칼럼니스트 파해드 맨주는 "미국 한 씽크탱크가 37개 도시에서 최근 발생한 범죄 발생 건수를 분석해 보니, 유독 '차량 도난'만 올해 상반기에 작년보다 33.5% 증가했다"며 "그 이유는 현대차·기아 차량은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훔치기 쉽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달 시애틀 차량 절도의 3분의 1은 현대차·기아였고 차량 도난은 소비자 피해를 넘어 범죄자들이 훔친 차로 총기 난사와 마약 거래, 교통사고 등 추가 범죄를 일으켜 막대한 비용을 사회가 지불하게 했다"고 비난했다.

실제 지난해부터 미국에서 10대들이 현대·기아 자동차를 훔친 뒤 난폭운전을 벌이는 영상이 SNS상에서 유행하면서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이에 현대차와 기아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의 조치를 취해 수습에 나섰지만, 이후에도 도난 사건이 거듭 이어졌다.

또 맨주는 미국의 일부 연방 하원의원과 뉴욕시장 등이 현대·기아가 아니라, 차량 절도 방법을 소개한 틱톡에 대해 "사회 불안정을 야기하는 빅테크 기업"이라고 비판한 발언을 "책임 전가"라고 주장하며 "훔치기 쉬운 차를 만든 것은 틱톡이 아니라 현대차와 기아"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칼럼은 공감을 얻기는커녕 역풍을 맞고 있다. 한 독자는 해당 칼럼에 댓글로 "총은 훔치기도 쉽고 다시 판매되며 범죄에 사용되지만, 총기 제조사엔 책임이 없다.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총의 잘못이 아니기 때문"이라며 "미국에서 차량 도난 장치 설치가 의무도 아닌데 차량 제조사가 왜 범죄자의 책임을 지느냐"고 지적했다.

또 다른 독자는 "'훔치기가 쉬워 절도를 저질렀다면 괜찮다'는 웃기는 전제에서 쓴 글"이라며 "그런 논리는 이상한 나라의 법정에서나 펼칠 수 있다"고 비꼬았다. 자신을 교사라고 밝힌 독자는 "차량 절도 범죄는 틱톡의 잘못도, 현대차·기아의 잘못도 아니다. 차를 훔친 도둑 잘못이다"라고 적었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