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갈등 때문? 미국 동물원에서 판다 사라진다

美·中 갈등 때문? 미국 동물원에서 판다 사라진다

2023.10.04. 오전 08:5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美·中 갈등 때문? 미국 동물원에서 판다 사라진다
연합뉴스
AD
미국 워싱턴DC 동물원의 판다 3마리가 오는 12월 중국에 반환되는 가운데 내년 말에는 미국 내 동물원에 판다가 한 마리도 남아있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이런 상황을 두고 '미·중 우호의 상징'인 판다를 통해 중국이 '징벌적 판다 외교'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현재 미국 내에 있는 자이언트 판다 7마리 중 워싱턴DC의 스미스소니언 국립동물원에 있는 3마리는 임대 계약 종료에 따라 12월 초에 중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계약 갱신이나 연장 가능성은 희박한 상태다. 스미스소니언 동물원 측도 이미 판다들의 고별 인사 행사까지 마쳤다.

워싱턴DC의 판다가 돌아가면 미국 내 판다는 조지아주 애틀랜타 동물원에 있는 4마리만 남는다. 이들 판다에 대한 중국과의 임대 계약도 내년 말 종료되며 현재까지 임대 연장에 대한 논의는 없는 상태다.

앞서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동물원은 2019년에, 테네시주 멤피스 동물원은 연초에 각각 판다를 중국에 반환했다.

일각에서는 베이징과 서방 정부 사이에 외교적 긴장감이 고조 되면서 서방 동물원에 대여된 판다를 점차 철수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을 내놨다.

조지타운대학교의 데니스 와일더 선임연구원은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추세를 '징벌적 판다 외교'라고 불렀다. 그는 최근 몇 년 동안 미국 동물원 2곳이 판다를 잃었고, 스코틀랜드와 호주의 동물원 역시 같은 상황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이어서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중국에 반대해서 행동하자 이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협력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19개국에 판다 65마리를 빌려주고 있다. 판다는 10년 단위로 임대하고 갱신도 가능하다. 임대된 판다들 사이에 새끼가 태어나면 3~4세에 다시 중국으로 보내야 한다. 현재 자이언트 판다는 19개국에 65마리가 임대된 상태다.

YTN 최가영 (weeping07@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