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난입' 수감자 놓고 트럼프 "풀어줘야" vs ·펜스 "법대로 처벌"

'의회난입' 수감자 놓고 트럼프 "풀어줘야" vs ·펜스 "법대로 처벌"

2024.01.08. 오전 08:5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의 직전 대통령과 부통령이 지난 6일로 3주년을 맞이한 '연방의회 의사당 난입 사태' 이른바 1·6 사태를 놓고 상반된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1·6 사태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승리한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극렬 지지자들이 바이든 승리를 공식화하는 상·하원의 절차를 막기 위해 의사당에 몰려 들어가 기물을 부수고 경찰에 폭력을 행사한 일을 말합니다.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압도적 1위를 달리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아이오와주에서 가진 유세에서 1·6사태 관련 수감자들을 "인질"로 표현하며 석방을 촉구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장 징역 20년 이상을 선고받은 1·6사태 관련자들이 정치적 박해를 받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의 2인자로서 1·6 사태 당일 의사당에서 상하원 합동회의를 주재했던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은 "그들은 나를 화나게 했다"며 "폭력 사태 관계자들은 법이 정한 형량을 최대한 채워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펜스 전 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인질'로 표현하고 석방을 요구한 1·6 사태 관계자들을 체포한 연방수사국, FBI의 노력에 "매우 감사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의사당 난입 사태는 일어나서는 안 됐던 일"이라며 "트럼프가 당일 한 말은 무모했고, 역사가 그의 역할에 대해 판단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바이든 대통령 당선 인증을 위한 상·하원 회의를 주재한 펜스 전 부통령은 사태 당시 의원들과 함께 긴급 대피했다가 인증 절차를 진행하지 말라는 트럼프의 요구를 거부하고 인증 절차를 진행했습니다.

펜스 전 부통령은 대선에 도전했으나 한 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하는 지지율 정체를 극복하지 못하면서 지난해 10월 공화당 경선 레이스를 포기했습니다.


YTN 이동우 (dw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