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도 뇌에 무선 컴퓨터 장치 이식..."마비환자 획기적 진전"

중국도 뇌에 무선 컴퓨터 장치 이식..."마비환자 획기적 진전"

2024.02.01. 오후 5: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중국 사지마비환자, 뇌에 칩 이식 통해 동작 실현
"’신경 전자 기회’ 이식, 마비환자 획기적 진전"
中연구진 "뉴럴링크 칩보다 세균침투·발작 적어"
"뇌 신경조직 이식 아니라 칩을 두개골에 장착"
AD
[앵커]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인간의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하는 임상을 시작했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에서도 유사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중국 연구진은 사지마비 환자에게 획기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서봉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사지가 마비된 환자가 전자기기가 부착된 의수를 통해 물병을 직접 옮깁니다.

의료진이 병의 위치를 옮기자 다시 한번 스스로 병을 잡고 움직입니다.

중국 이공계 명문 칭화대 연구진이 발표한 이른바 '무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임플란트' 임상 장면입니다.

중화권 언론들은 연구진이 '신경 전자 기회'로 명명한 칩을 14년 전 교통사고로 사지가 마비된 환자에게 이식한 결과 획기적인 진전을 이뤘다고 발표했습니다.

칭화대 연구 발표는 지난달 30일 머스크의 뉴럴링크 관련 발표 뒤 약 8시간 뒤라고 전했습니다.

[중국 뉴스 앵커 : 연구진은 석 달간의 재활 과정을 거쳐 환자가 의수로 병을 잡을 수 있게 됐으며 혼자서 먹고 마실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또 '신경 전자 기회'가 뉴럴링크가 개발한 칩보다 세균 침투와 환자 발작이 적은, 기술이라며 뉴런 손상 위험 없이 해당 성과를 이뤄냈다고 덧붙였습니다.

뉴럴링크의 칩이 뇌 조직에 직접 이식하는 것과 달리 동전 두 개만 한 크기의 칩이 두개골에 장착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몸이 움직이는 영화 매트릭스의 장면이 현실화된다는 흥분과 함께,

잇따른 칩 이식 연구가 자칫 인간의 뇌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안전성 논란도 더 커질 전망입니다.

YTN 서봉국입니다.


영상편집 : 이영훈


YTN 서봉국 (hijun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