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성차별 상징 '부부동성 제도'...재계 "기혼 여성도 자기 성 유지해야"

日 성차별 상징 '부부동성 제도'...재계 "기혼 여성도 자기 성 유지해야"

2024.06.15. 오전 02:1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일본은 부부가 같은 성을 쓰도록 규정하고 있고, 대부분의 가정에선 아내가 남편의 성을 따릅니다.

그래서 이 '부부동성 제도'는 대표적인 성차별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재계도 여성의 사회 진출과 경력 유지를 위해선 결혼해도 원래 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법을 바꿔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홍주예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 부부는 혼인신고를 하는 순간부터 같은 성을 써야 합니다.

민법의 '부부동성' 규정 때문인데, 아내가 결혼 전 성을 버리고 남편 성을 따르는 비율이 95%에 이릅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500년쯤 뒤엔 모든 일본인이 '사토' 씨가 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지금은 가장 흔한 성이긴 해도 인구의 1.5%를 차지할 뿐이지만, 결국엔 성씨 전체를 흡수 통일하게 될 거란 겁니다.

물론 더 큰 문제는 다른 데 있습니다.

[타카시 아카리 / 웨딩 플래너(22세) : 갑자기 성이 바뀌면 다른 직원들이 혼란스러워할 수 있잖아요. 그러니까 결혼한 뒤에도 직장에서 원래 성을 계속 쓰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2021년 일본 법무성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선 부부동성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27%에 그쳤습니다.

일본경제단체연합회, 게이단렌도 현행 제도를 바꿔야 한다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결혼하면 직장과 거래처에서 불리는 이름도, 명함도 모두 바꿔야 하니 여성의 사회 참여와 경력 유지도 자연스레 제한받는다는 주장입니다.

[도쿠라 마사카즈 / 게이단렌 회장 : 여성이 더 적극적인 역할을 맡고 여성 임원의 수도 늘고 있습니다. '부부동성'은 이제 개인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기업의 비즈니스 리스크가 되고 있습니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2015년에 이어 2021년에도 부부동성 제도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러는 동안 일본은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성 격차 지수'에서 146개국 가운데 125위, 주요 7개국 G7 중엔 꼴찌라는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YTN 홍주예입니다.


영상편집: 한경희
디자인: 김진호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