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러 밀착에도 韓 핵무장론 차단..."워싱턴선언 적절"

미, 북러 밀착에도 韓 핵무장론 차단..."워싱턴선언 적절"

2024.06.25. 오전 06:5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 미국외교협회 대담
"북러 조약 여파 분석…중국도 불안 느낄 것"
’한국 핵무장으로 내모는 북러 협력’ 발언에 동의
"워싱턴선언으로 대응"…자체 핵무장론에 선 그어
AD
[앵커]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조약 체결 이후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이 다시 부상하자 미국 정부가 진화에 나섰습니다.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한미 정상이 합의한 워싱턴선언으로 핵 위협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 권준기 특파원입니다.

[기자]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은 북한과 안보 조약을 맺은 러시아가 북한 핵 개발을 도울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러시아에 대량의 무기를 지원한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기술과 함께 핵 개발도 반대급부로 바랄 수 있다는 겁니다.

캠벨 부장관은 북러 조약의 여파를 분석하고 있다며 중국도 불안을 느낄 정도의 긴장감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커트 캠벨 / 미국 국무부 부장관 : 중국은 (러시아가) 북한에게 동북아시아에서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도발을 부추길 것이라고 우려하는 것 같습니다.]

북러 군사동맹 복원으로 핵 위협 우려가 커지면서 한국의 자체 핵무장 목소리가 나오는 데 대한 질문도 나왔습니다.

북러 밀착이 한국을 자체 핵무장으로 내몰고 있다는 앨리슨 후커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선임보좌관의 발언도 거론됐습니다.

캠벨 부장관은 후커 전 보좌관 진단에 공감한다며 각국이 군사 조치를 재검토하는 것도 그럴만하다고 인정했습니다.

다만 미국이 핵 우산을 약속한 워싱턴선언으로 대응하는 게 적절하다며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커트 캠벨 / 미국 국무부 부장관 : 한국은 미국이 동맹과 함께하고 동북아시아의 핵우산이 강력하고 지속적일 거라는 미국의 약속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그저 워싱턴선언의 구체적인 조치를 이행하려는 목적 의식을 가지면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캠벨 부장관은 한국과 일본을 상대로 확장억제 약속의 힘을 강조하는 데 매우 집중하고 있다며 자체 핵무장론과는 거듭 분명한 거리를 뒀습니다.

워싱턴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


촬영 : 강연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