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세계 기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서양 해류 시스템이 이르면 2030년대 후반에 붕괴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 연구팀은 최신 연구 모델을 이용해 심층 해수 순환 시스템 중 하나인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이 2037년부터 2064년 사이에 붕괴할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다만 2050년까지는 붕괴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쪽에 무게를 뒀습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외부 동료 연구원 심사를 거쳤지만, 아직 관련 저널에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인 레너 판 베스텐은 "더 많은 폭염, 가뭄, 홍수와 같은 인간이 초래하는 기후 변화 부작용이 계속 나타날 것"이라며 "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까지 붕괴하면 기후는 더욱 왜곡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은 컨베이어 벨트처럼 남반구와 열대 지방의 따뜻한 지표수를 차가운 북대서양으로 흐르게 해 더 차갑고 염분이 많은 북대서양의 바닷물이 가라앉으며 남쪽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이 같은 해수 순환은 남반구가 너무 뜨거워지거나 북반구가 차가워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이 순환이 붕괴하는 것은 세계 기후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YTN 김지영 (kjyo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 연구팀은 최신 연구 모델을 이용해 심층 해수 순환 시스템 중 하나인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이 2037년부터 2064년 사이에 붕괴할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다만 2050년까지는 붕괴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쪽에 무게를 뒀습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외부 동료 연구원 심사를 거쳤지만, 아직 관련 저널에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인 레너 판 베스텐은 "더 많은 폭염, 가뭄, 홍수와 같은 인간이 초래하는 기후 변화 부작용이 계속 나타날 것"이라며 "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까지 붕괴하면 기후는 더욱 왜곡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은 컨베이어 벨트처럼 남반구와 열대 지방의 따뜻한 지표수를 차가운 북대서양으로 흐르게 해 더 차갑고 염분이 많은 북대서양의 바닷물이 가라앉으며 남쪽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이 같은 해수 순환은 남반구가 너무 뜨거워지거나 북반구가 차가워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이 순환이 붕괴하는 것은 세계 기후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YTN 김지영 (kjyo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