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
양국 정부는 다방면에 걸쳐 교류의 폭을 넓히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계엄 선포 이후 탄핵안 통과로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가운데 한일 간 협력이 얼마나 순조롭게 이어질지 불투명합니다.
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는 한일 양국이 1965년 국교 정상화에 합의한 지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재작년 3월, 국내 반발 여론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해법을 내놓은 뒤
12년 만에 한일 정산 간 셔틀외교가 재개되는 등 양국 관계는 그야말로 급물살을 탔습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상황에서 이런 흐름이 이어질지 의구심은 커지고 있습니다.
당장 이번 달 이시바 총리의 방한이 무산됐고, 한일 장관급 상호 방문도 잇따라 취소됐습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의 대일 정책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하야시 요시마사 / 일본 관방장관(16일) : 한국 국내의 일련의 움직임에 대해 특별하고 중대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전략적 환경에서 한일 관계 중요성은 변함이 없습니다.]
일본 내 전문가들은 한국이 조기 대선에 돌입할 경우 여야를 불문하고 각 후보가 기존 대일 정책을 뒤집을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냅니다.
[오쿠조노 히데키 / 시즈오카 현립대학원 교수 : 모든 후보들이 윤석열 정권의 유산을 부정하고 대통령 선거를 치를 수밖에 없는 분위기가 되면 한일 관계뿐 아니라 한미일 관계에도 엄청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시바 총리 역시 저조한 지지율을 상반기 안에 반등시키지 않으면 퇴진론이 본격화할 수 있어, 일본 정국도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조선인 강제 동원을 둘러싼 일본 정부의 소극적인 자세도 여전한 걸림돌입니다.
지난해 11월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한 사과와 '강제노역' 표현이 빠진 것이 대표적입니다.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았지만, 일본의 과거사 인식과 한일의 정치적 상황은 한일 관계 개선 전망을 불투명하게 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
YTN 김세호 (se-3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
양국 정부는 다방면에 걸쳐 교류의 폭을 넓히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계엄 선포 이후 탄핵안 통과로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가운데 한일 간 협력이 얼마나 순조롭게 이어질지 불투명합니다.
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는 한일 양국이 1965년 국교 정상화에 합의한 지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재작년 3월, 국내 반발 여론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해법을 내놓은 뒤
12년 만에 한일 정산 간 셔틀외교가 재개되는 등 양국 관계는 그야말로 급물살을 탔습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 상황에서 이런 흐름이 이어질지 의구심은 커지고 있습니다.
당장 이번 달 이시바 총리의 방한이 무산됐고, 한일 장관급 상호 방문도 잇따라 취소됐습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의 대일 정책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하야시 요시마사 / 일본 관방장관(16일) : 한국 국내의 일련의 움직임에 대해 특별하고 중대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전략적 환경에서 한일 관계 중요성은 변함이 없습니다.]
일본 내 전문가들은 한국이 조기 대선에 돌입할 경우 여야를 불문하고 각 후보가 기존 대일 정책을 뒤집을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냅니다.
[오쿠조노 히데키 / 시즈오카 현립대학원 교수 : 모든 후보들이 윤석열 정권의 유산을 부정하고 대통령 선거를 치를 수밖에 없는 분위기가 되면 한일 관계뿐 아니라 한미일 관계에도 엄청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시바 총리 역시 저조한 지지율을 상반기 안에 반등시키지 않으면 퇴진론이 본격화할 수 있어, 일본 정국도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조선인 강제 동원을 둘러싼 일본 정부의 소극적인 자세도 여전한 걸림돌입니다.
지난해 11월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한 사과와 '강제노역' 표현이 빠진 것이 대표적입니다.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았지만, 일본의 과거사 인식과 한일의 정치적 상황은 한일 관계 개선 전망을 불투명하게 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
YTN 김세호 (se-3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