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트럼프 정부의 인공지능·가상화폐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는 중국의 딥시크(DeepSeek)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독점 모델을 이용해 기술을 개발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며 지식 재산권 침해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색스는 현지시간 28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미국에서 지식 재산을 훔쳤는지 묻는 말에 "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한 AI 모델이 다른 모델의 출력 결과를 훈련 목적으로 사용해 유사한 기능을 개발하는 '증류'(distillation) 개념을 빌어 설명하면서 "딥시크가 오픈AI 모델에서 지식을 증류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증거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습니다.
색스는 또 "앞으로 몇 달간 미국의 주요 AI 기업들이 증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그것은 확실히 이러한 '모방' 모델들의 일부를 늦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픈AI 측도 중국 기업들이 미국 경쟁사들의 기술을 활용해 중국의 AI 모델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픈AI는 성명을 내고 "AI의 선도적 개발자로서, 우리는 출시된 모델에 어떤 최첨단 기능을 포함할지 신중하게 처리하는 것을 포함해 지식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대응 조치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앞으로 적대국과 경쟁자들이 미국 기술을 빼앗으려는 시도로부터 가장 유능한 모델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색스는 현지시간 28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미국에서 지식 재산을 훔쳤는지 묻는 말에 "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한 AI 모델이 다른 모델의 출력 결과를 훈련 목적으로 사용해 유사한 기능을 개발하는 '증류'(distillation) 개념을 빌어 설명하면서 "딥시크가 오픈AI 모델에서 지식을 증류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증거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습니다.
색스는 또 "앞으로 몇 달간 미국의 주요 AI 기업들이 증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그것은 확실히 이러한 '모방' 모델들의 일부를 늦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픈AI 측도 중국 기업들이 미국 경쟁사들의 기술을 활용해 중국의 AI 모델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픈AI는 성명을 내고 "AI의 선도적 개발자로서, 우리는 출시된 모델에 어떤 최첨단 기능을 포함할지 신중하게 처리하는 것을 포함해 지식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대응 조치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앞으로 적대국과 경쟁자들이 미국 기술을 빼앗으려는 시도로부터 가장 유능한 모델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