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이 러시아에 2만 명에서 2만5천 명 규모의 병력을 추가로 파병할 수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주장이 나왔습니다.
현지시간 2일 우크라이나 매체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AP 통신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결속이 강화되고 있다고 경고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곧 2만 명이 넘는 북한군이 쿠르스크에 추가로 보내질 수 있다는 정보가 여러 방면에서 전해졌다는 것입니다.
이들이 전선에 배치될 시점 등과 관련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채, 1차 파병 북한군이 상당한 손실을 보고 후방으로 물러나긴 했지만 현대전 경험을 쌓아 위협적 존재로 변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달 31일 쿠르스크 방면에서 우크라이나군이 공세를 개시해 러시아군 중앙지휘소를 미사일 등으로 타격해 러시아와 북한군 장교 다수를 사살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러시아가 이란, 북한과의 동맹을 공식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세 나라는 핵보유국이란 점 외에도 매우 갈등 지향적이고 평화를 지향하지 않는다"면서 "사실상 미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결성했고 이는 매우 위험한 동맹"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1만1천여 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했습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군이 점령 중인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됐으나 상당한 피해를 입고 최근 후방으로 물러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방 당국은 북한군 사상자와 실종자가 4천 명에 이른다고 보고 있습니다.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군 전력이 파병 후 3개월 만에 거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 북한군 지휘관들은 휘하 병사들을 '소모품'으로 간주하는 듯 하다면서 후퇴를 막기 위해 즉결처형을 하는 경우가 잦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NK뉴스는 전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8월 기습적으로 국경을 넘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국경지대 일부를 점령했으며, 러시아는 자국 영토 내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기 위한 작전을 벌여왔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지시간 2일 우크라이나 매체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AP 통신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결속이 강화되고 있다고 경고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곧 2만 명이 넘는 북한군이 쿠르스크에 추가로 보내질 수 있다는 정보가 여러 방면에서 전해졌다는 것입니다.
이들이 전선에 배치될 시점 등과 관련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채, 1차 파병 북한군이 상당한 손실을 보고 후방으로 물러나긴 했지만 현대전 경험을 쌓아 위협적 존재로 변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달 31일 쿠르스크 방면에서 우크라이나군이 공세를 개시해 러시아군 중앙지휘소를 미사일 등으로 타격해 러시아와 북한군 장교 다수를 사살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러시아가 이란, 북한과의 동맹을 공식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세 나라는 핵보유국이란 점 외에도 매우 갈등 지향적이고 평화를 지향하지 않는다"면서 "사실상 미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결성했고 이는 매우 위험한 동맹"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1만1천여 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했습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군이 점령 중인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됐으나 상당한 피해를 입고 최근 후방으로 물러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방 당국은 북한군 사상자와 실종자가 4천 명에 이른다고 보고 있습니다.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군 전력이 파병 후 3개월 만에 거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 북한군 지휘관들은 휘하 병사들을 '소모품'으로 간주하는 듯 하다면서 후퇴를 막기 위해 즉결처형을 하는 경우가 잦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NK뉴스는 전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8월 기습적으로 국경을 넘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국경지대 일부를 점령했으며, 러시아는 자국 영토 내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기 위한 작전을 벌여왔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