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비해 영국 정부가 가능한 보복 조치 등 비상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습니다.
복수의 소식통들은 키어 스타머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 내각이 트럼프 행정부가 영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취할 수 있는 보복 조치들을 검토해왔다고 전했습니다.
한 영국 정부 당국자는 FT에 "우리는 준비가 돼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바라지만 내각은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일을 항상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당국자도 미국이 내놓은 잇따른 관세 조치들은 예상을 뛰어넘는 일이었다면서 "개방경제는 영국의 큰 장점이지만 현재 매우 큰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그 어떤 방안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영국 총리실 역시 보복 조치의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트럼프 행정부와 긴밀히 협조하겠다는 원론적 답변을 내놨습니다.
총리실 대변인은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매우 건설적인 관계를 구축해왔다"면서 "우리는 현존하는 영·미 교역 관계를 더 발전시키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영국 정부가 미국의 대형 IT 기업들을 겨냥해 디지털서비스세(DST)도 만지작거리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일간 텔레그래프는 영국 재무부가 미국 대형 IT 기업을 상대로 DST의 재평가에 착수했다고 전했습니다.
영국은 기업에 디지털세를 부과하는 디지털 서비스세를 2020년부터 시행 중인데, IT 기업의 영국 내 매출에 2%를 과세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만 6억7천800만 파운드(1조2천억 원 상당)를 징수했습니다.
재무부가 디지털서비스세 거론하고 나선 것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영국을 상대로 무역 전쟁 벌이는 상황을 염두에 둔 조처로 해석됩니다.
영국 정부가 향후 트럼프 정부가 영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등 무역전쟁에 나설 시 보복조치의 하나로 꺼내거나, 향후 미국과의 협상 테이블에서 DST를 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는 계산입니다.
이와 관련해 텔레그래프는 "DST 재평가 작업에 앞서 영국 재무부가 백악관, 애플·구글·아마존 등 잠재적 과세 대상인 미국 기업들로부터 강한 압력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복수의 소식통들은 키어 스타머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 내각이 트럼프 행정부가 영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취할 수 있는 보복 조치들을 검토해왔다고 전했습니다.
한 영국 정부 당국자는 FT에 "우리는 준비가 돼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바라지만 내각은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일을 항상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당국자도 미국이 내놓은 잇따른 관세 조치들은 예상을 뛰어넘는 일이었다면서 "개방경제는 영국의 큰 장점이지만 현재 매우 큰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그 어떤 방안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영국 총리실 역시 보복 조치의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트럼프 행정부와 긴밀히 협조하겠다는 원론적 답변을 내놨습니다.
총리실 대변인은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매우 건설적인 관계를 구축해왔다"면서 "우리는 현존하는 영·미 교역 관계를 더 발전시키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영국 정부가 미국의 대형 IT 기업들을 겨냥해 디지털서비스세(DST)도 만지작거리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일간 텔레그래프는 영국 재무부가 미국 대형 IT 기업을 상대로 DST의 재평가에 착수했다고 전했습니다.
영국은 기업에 디지털세를 부과하는 디지털 서비스세를 2020년부터 시행 중인데, IT 기업의 영국 내 매출에 2%를 과세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만 6억7천800만 파운드(1조2천억 원 상당)를 징수했습니다.
재무부가 디지털서비스세 거론하고 나선 것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영국을 상대로 무역 전쟁 벌이는 상황을 염두에 둔 조처로 해석됩니다.
영국 정부가 향후 트럼프 정부가 영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등 무역전쟁에 나설 시 보복조치의 하나로 꺼내거나, 향후 미국과의 협상 테이블에서 DST를 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는 계산입니다.
이와 관련해 텔레그래프는 "DST 재평가 작업에 앞서 영국 재무부가 백악관, 애플·구글·아마존 등 잠재적 과세 대상인 미국 기업들로부터 강한 압력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