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국무부는 미국 정부 선박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때 요금을 면제받는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무부는 현지 시간 5일 SNS에 글을 올려 "파나마 정부가 미국 정부 선박이 운하를 통과할 때 요금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 정부는 해마다 수백만 달러를 절약하게 될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파나마 운하청은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파나마 운하를 건설해 1914년부터 운영해오던 미국은 1999년 12월 31일 정오를 기해 파나마에 운하 통제권을 완전히 넘겼습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 연설에서 파나마 운하를 되찾겠다고 선언하는 등 운영권을 환수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왔습니다.
또, 지난 2일에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파나마를 찾아 "파나마 운하를 즉각적인 변화 없이 이대로 유지한다면 미국이 조처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무부는 현지 시간 5일 SNS에 글을 올려 "파나마 정부가 미국 정부 선박이 운하를 통과할 때 요금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 정부는 해마다 수백만 달러를 절약하게 될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파나마 운하청은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파나마 운하를 건설해 1914년부터 운영해오던 미국은 1999년 12월 31일 정오를 기해 파나마에 운하 통제권을 완전히 넘겼습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 연설에서 파나마 운하를 되찾겠다고 선언하는 등 운영권을 환수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왔습니다.
또, 지난 2일에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파나마를 찾아 "파나마 운하를 즉각적인 변화 없이 이대로 유지한다면 미국이 조처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