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치즈의 원료인 우유를 생산하려면 소를 길러야 하는데, 소가 뿜어내는 메탄가스는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주범입니다.
그래서 한 기업이 우유를 쓰지 않고 치즈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황보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엿가락처럼 쫀득거리는 먹거리.
모양도 맛도 틀림없는 치즈입니다.
그런데 소 우유로 만든 게 아닙니다.
미생물을 조작해 우유의 인단백질 성분인 카세인을 만들어낸 뒤 일반 치즈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한 겁니다.
[데이비드 넌 / 생물학자 : 정밀 생명공학과 발효 과정을 통해 미생물이 단백질뿐 아니라 다른 성분을 생산하도록 하는 '동물 프리' 치즈 제품입니다.]
한 스타트업벤처가 이 '동물 프리', 또는 '소 프리' 치즈를 개발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지구온난화 방지입니다.
온실효과가 이산화탄소의 25배에 이르는 메탄을 주로 소가 방귀나 트림으로 뿜어내는 현실에 착안해 치즈 원료인 카세인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제반 나가라자/ 영국 스타트업 대표 : 치즈와 똑같은 맛이 나고 녹고 늘어나는 제품인데, 소가 전혀 관여하지 않고 지속 가능하다는 게 차이점입니다.]
카세인뿐 아니라 뼈의 단백질 성분인 오스테오폰트도 인공 생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영국과 미국에서 관계 기관의 허가를 받아 인공 치즈와 건강기능식품을 대량생산하는 게 이 신생기업의 목표입니다.
YTN 황보선입니다.
영상편집 : 정치윤
YTN 황보선 (bosu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치즈의 원료인 우유를 생산하려면 소를 길러야 하는데, 소가 뿜어내는 메탄가스는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주범입니다.
그래서 한 기업이 우유를 쓰지 않고 치즈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황보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엿가락처럼 쫀득거리는 먹거리.
모양도 맛도 틀림없는 치즈입니다.
그런데 소 우유로 만든 게 아닙니다.
미생물을 조작해 우유의 인단백질 성분인 카세인을 만들어낸 뒤 일반 치즈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한 겁니다.
[데이비드 넌 / 생물학자 : 정밀 생명공학과 발효 과정을 통해 미생물이 단백질뿐 아니라 다른 성분을 생산하도록 하는 '동물 프리' 치즈 제품입니다.]
한 스타트업벤처가 이 '동물 프리', 또는 '소 프리' 치즈를 개발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지구온난화 방지입니다.
온실효과가 이산화탄소의 25배에 이르는 메탄을 주로 소가 방귀나 트림으로 뿜어내는 현실에 착안해 치즈 원료인 카세인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제반 나가라자/ 영국 스타트업 대표 : 치즈와 똑같은 맛이 나고 녹고 늘어나는 제품인데, 소가 전혀 관여하지 않고 지속 가능하다는 게 차이점입니다.]
카세인뿐 아니라 뼈의 단백질 성분인 오스테오폰트도 인공 생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영국과 미국에서 관계 기관의 허가를 받아 인공 치즈와 건강기능식품을 대량생산하는 게 이 신생기업의 목표입니다.
YTN 황보선입니다.
영상편집 : 정치윤
YTN 황보선 (bosu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