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의 트럼프' 밀레이, 미국에서 트럼프와 정상회담 추진

'아르헨티나의 트럼프' 밀레이, 미국에서 트럼프와 정상회담 추진

2025.02.10. 오전 07:5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이달 말 미국 보수 정치 행동 회의(CPAC) 참석차 9번째 방미를 준비 중인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트럼프'로 불리는 밀레이는 미 대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마러라고에서 트럼프를 처음 만난 외국 정상이지만, 당시 담소 외에 주요 의제에 대한 의견 교환 기회는 얻지 못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언론 인포바에는 밀레이가 트럼프와의 양자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성사될 경우 국제통화기금(IMF)과의 차관 협상에 대한 지원을 요청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일간지 클라린과 라나시온, 페르필 등도 IMF 대표단의 아르헨티나 방문 이후 신규 차관 협상 소식을 소개하면서 밀레이와 트럼프의 양자 회담 추진설을 전했습니다.

클라린은 지난 6일 사설에서 아르헨티나와 IMF 간 신규 자금 지원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며, IMF 측은 10월 총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가벼운(light)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요구하는 14조 6천억 원을 IMF가 전액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선거 전까지 IMF에 상환해야 하는 차관을 빌려주고 되받는 것을 의미입니다.

IMF는 10월 총선 이후에 재협상을 해서 최종 합의에 대해선 아르헨티나 국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클라린은 전했습니다.

IMF는 밀레이 정부가 그동안 이룬 거시 경제적 안정을 칭찬하면서도 외환 정책에 대해선 지속해서 비판해왔습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신규 자금이 유입되면 외환규제(CEPO)를 폐지하는 데 사용하겠다고 누누이 주장해왔지만, IMF는 그 전에 페소화의 평가절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신규 차관을 환율 방어에 사용하는 것을 엄격하게 반대한다는 게 IMF의 입장입니다.

IMF 줄리 코작 대변인은 "경제 성장을 이루는 개혁을 추진하면서 일관성 있는 재정·통화·환율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데 IMF와 아르헨티나 정부는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아직 여러 도전이 남아있다"고 말해 양측 간 협상이 완만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했다고 아르헨티나 언론들은 분석했습니다.

이에 밀레이 정부는 IMF의 환율 조정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고 신규 자금을 얻어내기 위해 트럼프의 지원을 기대하고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희망하고 있다고 아르헨티나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