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러시아 최고 부자 여성으로 꼽히는 타티야나 김 와일드베리스 창업자가 남편과 떠들썩한 다툼 끝에 이혼했다고 러시아 매체들이 보도했습니다.
김은 자신의 텔레그램에 "법원이 이혼을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고려인인 김은 육아 휴직 중이던 2004년 창업한 와이드베리스를 러시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로 키운 자수성가 신화의 주인공입니다.
지난해 7월 남편 블라디슬라프 바칼추크를 상대로 이혼 소송을 제기했고 그해 10월 남편을 따라 바칼추크로 바꿨던 성을 김으로 되돌렸습니다.
김은 부부 사이에 사적인 깊은 문제가 있었다고 밝혔지만, 두 사람은 회사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을 빚어왔습니다.
지난해 6월 와일드베리스가 러시아 최대 옥외광고 업체 루스 아웃도어와 합병한다는 계획이 발표됐지만 바칼추크는 이를 반대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지난해 9월 모스크바 크렘린궁 맞은편에 있는 와일드베리스 사옥에서 총격전까지 벌어졌습니다.
바칼추크가 협상하겠다며 건장한 남성들과 함께 사무실을 찾았다가 김이 고용한 경비원이 충돌, 총격전으로 사망자까지 발생했습니다.
와일드베리스 지분 1%를 보유한 바칼추크는 이혼의 대가로 김에게 지분의 절반을 요구했하며 김이 2004년 자신의 자금으로 와일드베리스를 창업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재산을 둘러싼 다툼은 이혼 후에도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재산 분할에 대한 법원 심리는 오는 18일 열립니다.
22년간 결혼을 유지한 김과 바칼추크 사이의 아이 7명은 모두 김이 양육하고 바칼추크는 면접교섭권을 유지하면서 양육비를 지불할 예정입니다.
러시아 포브스는 바칼추크가 미성년 자녀 5명에게 각각 매달 4만 1천루블(약 62만원)의 양육비를 제공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반면 콤소몰스카야 프라브다는 러시아에서 미성년 자녀가 3명 이상이면 배우자는 소득의 절반을 자녀 양육비로 줘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 포브스는 김이 72억달러(약 10조5천억)의 순자산을 보유, 지난해 러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자수성가 여성 1위에 선정됐다고 전했습니다.
YTN 윤현숙 (yunhs@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은 자신의 텔레그램에 "법원이 이혼을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고려인인 김은 육아 휴직 중이던 2004년 창업한 와이드베리스를 러시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로 키운 자수성가 신화의 주인공입니다.
지난해 7월 남편 블라디슬라프 바칼추크를 상대로 이혼 소송을 제기했고 그해 10월 남편을 따라 바칼추크로 바꿨던 성을 김으로 되돌렸습니다.
김은 부부 사이에 사적인 깊은 문제가 있었다고 밝혔지만, 두 사람은 회사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을 빚어왔습니다.
지난해 6월 와일드베리스가 러시아 최대 옥외광고 업체 루스 아웃도어와 합병한다는 계획이 발표됐지만 바칼추크는 이를 반대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지난해 9월 모스크바 크렘린궁 맞은편에 있는 와일드베리스 사옥에서 총격전까지 벌어졌습니다.
바칼추크가 협상하겠다며 건장한 남성들과 함께 사무실을 찾았다가 김이 고용한 경비원이 충돌, 총격전으로 사망자까지 발생했습니다.
와일드베리스 지분 1%를 보유한 바칼추크는 이혼의 대가로 김에게 지분의 절반을 요구했하며 김이 2004년 자신의 자금으로 와일드베리스를 창업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재산을 둘러싼 다툼은 이혼 후에도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재산 분할에 대한 법원 심리는 오는 18일 열립니다.
22년간 결혼을 유지한 김과 바칼추크 사이의 아이 7명은 모두 김이 양육하고 바칼추크는 면접교섭권을 유지하면서 양육비를 지불할 예정입니다.
러시아 포브스는 바칼추크가 미성년 자녀 5명에게 각각 매달 4만 1천루블(약 62만원)의 양육비를 제공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반면 콤소몰스카야 프라브다는 러시아에서 미성년 자녀가 3명 이상이면 배우자는 소득의 절반을 자녀 양육비로 줘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 포브스는 김이 72억달러(약 10조5천억)의 순자산을 보유, 지난해 러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자수성가 여성 1위에 선정됐다고 전했습니다.
YTN 윤현숙 (yunhs@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