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 미국인 명의도용 'IT 원격근무'로 거액 챙겨](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0212/202502121057092809_t.jpg)
사진출처 : 연합뉴스
AD
북한이 미국인들의 명의를 도용해 정보기술(IT) 분야 원격근무 일자리를 얻는 수법으로 미국 기업들의 전산시스템에 접근 권한을 얻고 돈까지 챙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미국 법무부에 따르면 미 애리조나주 리치필드파크에 거주하는 미국인 크리스티나 마리 채프먼(48)은 현지시간 11일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에서 이런 북한의 작전에 가담한 혐의를 인정했습니다.
공소장에 따르면 채프먼은 2020년 10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미국에 살지 않는 사람들이 미국 시민이나 미국 거주자인 70여 명의 명의를 도용해 미국 기업 300여 개의 IT 분야 원격근무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줬습니다.
채프먼은 미국 회사들로부터 원격 근무자용 랩톱 컴퓨터들을 받아서 집에 설치해뒀습니다.
마치 원격근무자들이 미국 내에서 일하고 있는 것처럼 꾸미기 위해서였습니다.
이런 상황을 법무부는 "랩톱 농장"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채프먼과 공범들은 이런 '명의도용 원격근무 취업'으로 1천710만 달러(약 248억 원)를 기업들로부터 받아 챙겼습니다.
채프먼이 유죄 인정을 함에 따라 검찰은 최단 94개월(7년 10개월), 최장 111개월(9년 3개월)의 범위 내에서 징역형을 선고해 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습니다.
선고 기일은 6월 16일로 잡혔습니다.
이번 수사는 연방수사국(FBI), 애리조나 연방지방검찰청, 국세청(IRS)의 공조로 이뤄졌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법무부에 따르면 미 애리조나주 리치필드파크에 거주하는 미국인 크리스티나 마리 채프먼(48)은 현지시간 11일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에서 이런 북한의 작전에 가담한 혐의를 인정했습니다.
공소장에 따르면 채프먼은 2020년 10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미국에 살지 않는 사람들이 미국 시민이나 미국 거주자인 70여 명의 명의를 도용해 미국 기업 300여 개의 IT 분야 원격근무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줬습니다.
채프먼은 미국 회사들로부터 원격 근무자용 랩톱 컴퓨터들을 받아서 집에 설치해뒀습니다.
마치 원격근무자들이 미국 내에서 일하고 있는 것처럼 꾸미기 위해서였습니다.
이런 상황을 법무부는 "랩톱 농장"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채프먼과 공범들은 이런 '명의도용 원격근무 취업'으로 1천710만 달러(약 248억 원)를 기업들로부터 받아 챙겼습니다.
채프먼이 유죄 인정을 함에 따라 검찰은 최단 94개월(7년 10개월), 최장 111개월(9년 3개월)의 범위 내에서 징역형을 선고해 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습니다.
선고 기일은 6월 16일로 잡혔습니다.
이번 수사는 연방수사국(FBI), 애리조나 연방지방검찰청, 국세청(IRS)의 공조로 이뤄졌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