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부터 공격적으로 금리를 내렸던 유럽중앙은행(ECB)에서 미국발 무역 전쟁 우려와 함께 금리 인하 속도 조절론이 나오고 있습니다.
ECB 통화정책위원인 로베르트 홀츠만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12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을 들어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홀츠만 총재는 "우리 모델에 따르면 통상 마찰이 증가할 경우 성장이 줄어드는 게 사실이지만 반대로 인플레이션도 증가하기 때문에 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며 "내 생각에는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 둔화) 속도가 빨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일은 성장이 아닌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것"이라며 경기 부양을 위한 빅컷(0.5%p 인하)은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ECB 실세로 꼽히는 이자벨 슈나벨 집행이사도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한 연설에서 무역 분야 불확실성이 '극적으로' 커졌다며 비싼 에너지 가격 등 구조적 위기를 금리 인하로 해결할 수는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ECB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짐에 따라 작년 6월부터 지난달까지 정책금리를 다섯 차례 인하했습니다.
이에 따라 통화정책 기준인 예금금리는 연 4%에서 2.75%까지 내려갔습니다.
시장에서는 예금금리가 이르면 올여름 중립금리 추정 영역인 2% 안팎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현실화하면서 수입 물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재점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ECB 통화정책위원인 로베르트 홀츠만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12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을 들어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홀츠만 총재는 "우리 모델에 따르면 통상 마찰이 증가할 경우 성장이 줄어드는 게 사실이지만 반대로 인플레이션도 증가하기 때문에 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며 "내 생각에는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 둔화) 속도가 빨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일은 성장이 아닌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것"이라며 경기 부양을 위한 빅컷(0.5%p 인하)은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ECB 실세로 꼽히는 이자벨 슈나벨 집행이사도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한 연설에서 무역 분야 불확실성이 '극적으로' 커졌다며 비싼 에너지 가격 등 구조적 위기를 금리 인하로 해결할 수는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ECB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짐에 따라 작년 6월부터 지난달까지 정책금리를 다섯 차례 인하했습니다.
이에 따라 통화정책 기준인 예금금리는 연 4%에서 2.75%까지 내려갔습니다.
시장에서는 예금금리가 이르면 올여름 중립금리 추정 영역인 2% 안팎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현실화하면서 수입 물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재점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