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전 세계 전문가 대상 설문 조사에서 한국의 핵무장 가능성을 예상하는 답변이 1년 사이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싱크탱크 애슬랜틱카운슬은 지난해 11월 말∼12월 초 미국 등 세계 60개국 글로벌 전략가와 전문가 357명을 상대로 실시한 '글로벌 예측 2025' 설문조사 결과를 12일(현지 시간) 공개했습니다.
여기서 '향후 10년 안에 핵무기를 가질 가능성이 큰 나라'(객관식·복수 응답 허용)로 한국을 꼽은 비율은 40.2%로 3위였습니다. 1년 전(25.4%)에 비해 14.8%포인트 올랐습니다.
1위는 이란(72.8%), 사우디아라비아(41.6%)는 2위였습니다.
우리나라 다음으로는 일본(28.6%), 우크라이나(14.9%), 대만(7.9%)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일본도 1년 전보다 9.3%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역량이 지난 1년 사이 더 고도화한 데다 러시아와 북한 간 사실상의 군사동맹 체결, 유엔 대북 제재 이행 감시 체제 약화로 북한의 위협이 더 커진 것은 물론 한국의 일부 여론조사에서 독자 핵무장 지지여론이 과반으로 나타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향후 10년 안에 핵무기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로는 러시아가 1위(25.9%), 북한이 2위(24.2%)를 기록했습니다.
이스라엘(12.3%), 중국(6.3%), 미국(5.1%), 파키스탄(3.1%), 인도(1.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민간 분야와 비영리 단체, 학계와 교육기관, 정부, 다국적 기구 등 소속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미국인 비율이 약 55%로 가장 많았습니다.
YTN 김도원 (doh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싱크탱크 애슬랜틱카운슬은 지난해 11월 말∼12월 초 미국 등 세계 60개국 글로벌 전략가와 전문가 357명을 상대로 실시한 '글로벌 예측 2025' 설문조사 결과를 12일(현지 시간) 공개했습니다.
여기서 '향후 10년 안에 핵무기를 가질 가능성이 큰 나라'(객관식·복수 응답 허용)로 한국을 꼽은 비율은 40.2%로 3위였습니다. 1년 전(25.4%)에 비해 14.8%포인트 올랐습니다.
1위는 이란(72.8%), 사우디아라비아(41.6%)는 2위였습니다.
우리나라 다음으로는 일본(28.6%), 우크라이나(14.9%), 대만(7.9%)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일본도 1년 전보다 9.3%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역량이 지난 1년 사이 더 고도화한 데다 러시아와 북한 간 사실상의 군사동맹 체결, 유엔 대북 제재 이행 감시 체제 약화로 북한의 위협이 더 커진 것은 물론 한국의 일부 여론조사에서 독자 핵무장 지지여론이 과반으로 나타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향후 10년 안에 핵무기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로는 러시아가 1위(25.9%), 북한이 2위(24.2%)를 기록했습니다.
이스라엘(12.3%), 중국(6.3%), 미국(5.1%), 파키스탄(3.1%), 인도(1.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민간 분야와 비영리 단체, 학계와 교육기관, 정부, 다국적 기구 등 소속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미국인 비율이 약 55%로 가장 많았습니다.
YTN 김도원 (doh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