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겨울철 실내에서 빨래를 말리는 것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최근 영국 데일리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영국 맨체스터 대학 연구팀은 "겨울철 실내에서 젖은 빨래를 말리는 경우 집 안의 수분 농도가 위험한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며 치명적인 폐 감염을 퍼뜨릴 위험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 "사람들 중 87%가 겨울철에 실내에서 옷을 말리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한 번의 물 세탁으로 약 2리터의 수분이 방으로 방출된다"며 "최근 아스페르길루스 곰팡이 포자를 흡입해 질환이 발병한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스페르길루스는 습한 실내에서 흔히 발견되는 곰팡이다.
이어 "대부분의 사람은 아스페르길루스와 같은 곰팡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지만, 면역 기능이 약한 사람이나 천식, 낭포성 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폐가 손상된 환자에게는 '폐 아스페르길루스증'(pulmonary aspergilloma)'이라는 심각한 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폐아스페르길루스증은 포자를 폐로 흡입하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폐와 부비동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특히 항암 치료를 받는 암 환자, 에이즈 환자, 자가면역 질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에 걸릴 위험이 더욱 크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실내에서 빨래를 건조하는 것을 경고하며 가능하면 실외에서 빨래를 건조하거나 건조기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또 불가피하게 실내에서 건조할 경우 제습기를 사용해 습기를 조절하고, 창문을 자주 열어 환기하라고 권고했다.
YTN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영국 데일리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영국 맨체스터 대학 연구팀은 "겨울철 실내에서 젖은 빨래를 말리는 경우 집 안의 수분 농도가 위험한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며 치명적인 폐 감염을 퍼뜨릴 위험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 "사람들 중 87%가 겨울철에 실내에서 옷을 말리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한 번의 물 세탁으로 약 2리터의 수분이 방으로 방출된다"며 "최근 아스페르길루스 곰팡이 포자를 흡입해 질환이 발병한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스페르길루스는 습한 실내에서 흔히 발견되는 곰팡이다.
이어 "대부분의 사람은 아스페르길루스와 같은 곰팡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지만, 면역 기능이 약한 사람이나 천식, 낭포성 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폐가 손상된 환자에게는 '폐 아스페르길루스증'(pulmonary aspergilloma)'이라는 심각한 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폐아스페르길루스증은 포자를 폐로 흡입하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폐와 부비동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특히 항암 치료를 받는 암 환자, 에이즈 환자, 자가면역 질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에 걸릴 위험이 더욱 크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실내에서 빨래를 건조하는 것을 경고하며 가능하면 실외에서 빨래를 건조하거나 건조기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또 불가피하게 실내에서 건조할 경우 제습기를 사용해 습기를 조절하고, 창문을 자주 열어 환기하라고 권고했다.
YTN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