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장관, 관세·대북 공조 논의...젤렌스키 "우크라 뺀 협정 안 돼"

한미 외교장관, 관세·대북 공조 논의...젤렌스키 "우크라 뺀 협정 안 돼"

2025.02.15. 오후 10: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뮌헨안보회의를 계기로 한미 외교장관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양측은 미국 정부의 관세 문제 등을 논의하고 동맹 강화와 대북 공조에 뜻을 모았습니다.

현장에 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조수현 특파원!

[기자]
네, 독일 뮌헨입니다

[앵커]
미국의 새 정부 출범 이후 한미 외교장관의 첫 회담이죠?

[기자]
네, 뮌헨안보회의에 참석 중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이곳 시간으로 오늘(15일) 오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만났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 간 첫 고위급 대면 회담인데요.

다자회의를 계기로 만나는 자리인 만큼 애초 30분 정도로 예정돼 있었는데, 예상 시간을 넘겨 40분간 이어졌습니다.

조 장관은 회담에서 미국의 새 행정부에서도 대북 공조와 확장억제, 한미일 협력은 물론 투자와 경제 협력을 더욱 확대·강화해 나가자는 메시지를 강조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이에 동의하면서 같은 자유 민주주의 국가로서 한국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고, 각국 국내 상황과 무관하게 신뢰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알루미늄 관세에 이어 대미 수출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도 밝혔는데 외교장관 회담에서 논의도 이뤄졌나요?

[기자]
네, 조 장관은 관세 적용 문제에 대해 한미 간 긴밀한 협의에 의한 해결 의지를 밝히고,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고 당부했습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관계부처 간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관세 문제는 이제 시작하고 검토하는 단계인 만큼 계속 협의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은 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면서 향후 대북정책 수립과 이행 과정에서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습니다.

러북 군사협력 관련 우려도 공유하면서 계속 예의주시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아울러 조선, 원자력과 LNG 등 에너지, 첨단기술 등이 앞으로 한미 간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한미 회담에 이어 오후에는 한미일 외교장관이 만나 대북 공조 등 3국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앵커]
뮌헨안보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종전 문제 논의도 이어지고 있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고 종전 협상 개시를 선언한 만큼 이번 뮌헨안보회의 최대 화두는 우크라이나 종전 문제입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회의 이튿날인 오늘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의 참여 없이 이뤄진 평화 협정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또 유럽도 협상 테이블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만나기 전에 먼저 푸틴 대통령을 만나는 것은 위험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도 뮌헨안보회의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와 EU가 참여하지 않는 협상은 신뢰할 수도, 성공적일 수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회의 첫날인 어제, 밴스 미 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처음으로 만나 평화 달성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밴스 부통령은 생산적인 대화였다며 일시적인 게 아닌 견고하고 영구적인 평화를 이루고 싶다고 강조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중요한 현안을 다룬 좋은 회담이었다며 진정한 평화를 향해 속도를 낼 준비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러시아를 멈추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고 안보 보장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핵심 요구인 나토 가입에 대해 미국 정부는 부정적이어서 앞으로 협상이 순탄치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뮌헨에서 YTN 조수현입니다.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