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글로벌 관세전쟁'으로 대표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통상 정책을 총괄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준안이 현지시간 18일 연방 상원에서 가결 처리됐습니다.
미 상원은 이날 본회의 표결에서 러트닉 후보자의 인준안을 찬성 51표, 반대 45표로 통과시켰습니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이날 러트닉 후보자를 포함해 내각의 주요 공직자 17명이 낙오 없이 모두 의회 인준 절차를 마쳤습니다.
상무장관은 미국의 무역, 해운, 인프라, 통신, 환경 모니터링, 지식재산권 등 광범위한 실물 경제 관련 업무를 총괄합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대중(對中)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와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데다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까지 예고하는 상황에서 관련 실무를 주도하게 됩니다.
앞서 러트닉 후보자는 지난달 29일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이 그동안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해왔다고 주장하면서 관세를 활용해 외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는 청문회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가 가장 높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우리 적들에 대한 관세가 가장 높아야 하지만 미국인들이 유럽에 미국산 자동차를 팔 수 없다는 사실은 정말 잘못됐으며 교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동맹들은 우리의 선량함을 이용해왔다.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며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그 생산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러트닉 후보자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제정된 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기업에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에 대해서도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 그간 미국에 대대적 투자를 해온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 상원은 이날 본회의 표결에서 러트닉 후보자의 인준안을 찬성 51표, 반대 45표로 통과시켰습니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이날 러트닉 후보자를 포함해 내각의 주요 공직자 17명이 낙오 없이 모두 의회 인준 절차를 마쳤습니다.
상무장관은 미국의 무역, 해운, 인프라, 통신, 환경 모니터링, 지식재산권 등 광범위한 실물 경제 관련 업무를 총괄합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대중(對中)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와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데다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까지 예고하는 상황에서 관련 실무를 주도하게 됩니다.
앞서 러트닉 후보자는 지난달 29일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이 그동안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해왔다고 주장하면서 관세를 활용해 외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는 청문회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가 가장 높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우리 적들에 대한 관세가 가장 높아야 하지만 미국인들이 유럽에 미국산 자동차를 팔 수 없다는 사실은 정말 잘못됐으며 교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동맹들은 우리의 선량함을 이용해왔다.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며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그 생산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러트닉 후보자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제정된 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기업에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에 대해서도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 그간 미국에 대대적 투자를 해온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